![]() 3국 금동불에 공통된 둥근 연화대좌를 지니고 있다. 광배 뒷면에 다음과 같은 2행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癸未年十一月一日 寶華爲亡父趙國人造 1-1 금동계미명 삼존불 ![]() 높이 17.5센티미터, 7세기, 국보 72호, 간송미술관 소장 2.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78호) ![]() 높이 83.2센티미터, 6∼7세기. 석가 열반 후 56억 7천만년 뒤에 온다는 부처가 미륵이다. 아직은 보살인 미륵이 도솔천에서 먼 미래에 어떻게 중생을 구제할 것인가를 2-1 태자사유상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의 모티브가 된 싯달타 태자 사유상. ![]() 2-2 미륵보살(확대) 미국 어느 박물관 홈페이지에 소개된 한국 미술실의 초기 화면 ![]() 3.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83호) ![]() 높이 93.5센티미터, 7세기. 삼국시대 불상 조각 중의 백미로 최고 걸작으로 손꼽히는 반가사유상. 이 불상은 이를 모두 극복하여 완벽한 비례와 안정감, 3-1 얼굴부분 (확대) 이 불상은 삼국 중 어느 나라에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 4. 목조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일본) ![]() 일본 국보 1호인 이 작품은 일본에서 생산되지 않는 적송이라는 소나무로 만들어졌다하여 4-1 얼굴부분 확대 이 거룩한 모습을 보고 있던 어떤 일본 학생이 갑자기 뛰어들어 ![]() 5. 경주 구황동 금제아미타여래좌상 ![]() 높이 12.1센티미터, 700년경, 국립중앙박물관. 이 불상은 불신과 좌대가 분리되는 특이한 형태이며 서방 극락 세계를 주재하는 아미타여래를 모심으로써 5-1 아미타내영도 고려불화 중 아미타여래를 표현한 작품이다. ![]() 6. 석굴암 본존불 ![]() 국보 24호. 한국 불교예술을 대표하는 최고의 걸작품. 석가모니가 진리를 깨치는 순간을 표현하였다. 수많은 돌들을 짜맞추어 만든 인공석굴로 건축학적으로도 매우 절묘한 작품이다. 6-1 얼굴부분 (확대) 범접할 수 없는 엄숙함과 진리를 깨치는 자의 희열이 ![]() 6-2 보리사 석불 석굴암 본존불과 가장 형태가 유사한 불상이다. ![]() 전실 앞쪽 등이 허물어진 상태이다. (1913년 이전) ![]() 7. 석굴암 금강역사상 ![]() 금강역사는 보통 인왕이라고도 불리는데, 불법을 수호하는 존재이다. 보통 2구가 배치되는데 2구 모두 한쪽 팔을 들어 주먹을 쥐었고 ![]() 7-1 금강역사의 모습 석굴을 지키고 있는 금강역사의 강인한 모습. ![]() 7-2. 중국 금강역사상 중국 용문석굴 외벽 금강역사상 (505- 523 A.D.) ![]() 7-3. 익살스런 금강역사 안동 조탑동 5층 벽돌탑에 1층 문의 좌우에 새겨진 상으로 ![]() 7-4 석조금강역사 비록 아이같이 짧달막한 체구이지만, ![]() 8. 논산 관촉사 은진미륵불 ![]() 논산 관촉사의 이 미륵입상은 국내 최대의 석조 불상으로서 기술이 기백을 따르지 못한 불상이다. 8-1 은진미륵불(사진) 이 불상은 전체 높이가 18미터이나 인체비례도 무시되어 ![]() 8-2 그림 속 은진 미륵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이 1880년 그림으로 표현한 은진미륵의 모습이다. ![]() |
출처 : 불 교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불 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법문을 듣는 공덕" (0) | 2008.05.12 |
---|---|
[스크랩] 彩色鬼面 (한국의 전통문양)<1> - 귀일(봉정사 지조암 스님) (0) | 2008.03.20 |
[스크랩] 불국사의 옛모습! (0) | 2008.03.20 |
[스크랩] 아름다운 탱화 (0) | 2008.03.20 |
[스크랩] 33관세음보살도 (0) | 2008.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