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수란 자연적 누수와 인위적누수로 나눌 수 있다.
비가 조금와서 샐 경우 균열부위를 확인하시고 크랙에 의한 누수는 빗물에 의해 새는누수,하수관 파열로 인한누수,방수층 부실로 인한누수 등을 말하며,결로에 의한누수 즉 결로란 여름에 차가운 냉수컵에 물방울이 맺히는것과 같이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말한다.
대개는 겨울철에 발생하며,보온 처리가 잘못된 주택에서 발생한다. 기온이 올라가는 낮에는 사라진다.이런 경우는 보온처리를 다시 하거나 환기구를 이용한다.
물이 일정한 시간으로 떨어지는 경우는 수도,난방 파이프파손이 우려되며,수도요금이 갑자기 많이 나왔다고 생각이 될땐 수돗물이 새거나,화장실 변기 보일러 물통이 샐 경우가 많으므로 보수가 필요하다.
배관에 의한 누수는 옥내에 매립되어진 배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말하며,아랫집 주민에게 피해를 입히고 내장재 및 마감재 등의 물질적 피해와 주거 생활의 불편함을 가져온다. |
|
간단한 누수탐지법
누수되는곳이 일반주택,아파트,상가,목욕탕,여관등인지 확인을 한다. 다음은 두 번째로 누수의 종류 파악한다. 건물내부누수인지 건물외부누수를 파악한다.
건물 내부에서 물이 떨어지거나 벽면에 물이 흐르고 축축할 경우엔 건물내부누수로 볼 수 있으며,새어 나가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야 누수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누수가 건물 내부인지,건물외부인지 파악이 끝났으면 다음은 누수현장상황을 파악해야한다. 누수현장이 주택,상가,건물내,목욕탕인지를 파악을 한다. 누수위치 파악을 하기위해 누수가 몇층에서 몇층으로 새는지를 확인하고,새는 부위를 파악한다.
실내의 천장이나 벽에서 떨어지는 물의 양을 관찰하여 파이프의 파열 정도를 예측할 수가 있습니다. 다음은 누수 된 시기 즉 언제부터 누수가 됐는지 확인을 한다.
물량이 일정하면 누수로 생각하면되고,불규칙하면 방수하 및 하수구 문제로 생각하면된다. |
|
난 방 확 인 : 개별식은 눈으로 확인 가능하고, 중앙 집중식은 불가능하다.
다음은 배관라인을 점검한다. 실내 배관의 경우에는 물을 담고 있는 파이프는 냉,난방 배관과 라지에타 그리고 냉,온수 배관과 하수구 정화조관등이 있습니다. 난 방 확 인
|
가스 보일러는 자동물보충인 경우와 수동물보충인 경우가 있다.
|
기름 보일러는 자동 - 보충수 점검램프에 점등(현재 보일러)
|
온수에서 샐 경우
온수에서의 누수가 가장많이 있다.
누수의70%가 온수에서의 누수가 된다.
파이프의 재질과 매립상태의 관찰은 파이프가 터져서 나는 누수음은 일정한 주파수 영역과 고유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파이프가 어떤 재질을 썼느냐도 중요합니다.
재질에 따라서 누수음이 다르기 때문이죠. 특히 파이프관의 재질에 따라서 각각 다른 음색의 소리를 내는 것이죠. 예를 들면 엑셀(XL)이나 PB 또는 PP관일 경우에는 음이 낮고 파이프에 울림 현상이 거의 없습니다. 또 철이나 스테인레스에서 누수가 될 경우는 아주 예리하고 높은 소리가 나면 관 전체에 걸쳐음이 떨림 현상이 나타났니다.
|
온 수 확 인
*압력이 떨어지면 누수탐지기를 이용하여 새는 지점을 체크한다.
|
직수에서 누수가 될 경우
직수누수확인은 온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을 하고,한 건물에 여러집이 함께 사는 주택(다세대 주택)등 모든집의 온수를 보충하고 화장실 변기밸브를 잠그고 계량기를 차단한다.(수도 꼭지를 분리해서 공기를 넣을수 있게 한다)
단 기계음을 알 경우 직수는 건물의 모든변기,물탱크에 올라가는 밸브를 잠그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도 계량의 바늘이 돌아가는 지를 확인한다.
확인이 안될 경우에는 계량기를 잠그고 누수되는 층에서 공기 압력을 가해서 압력이 떨어지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압력은 무리하게 높이지 말고 관의상태나 시공 연도를 감안해서 넣어야 한다.
지하나 내부일 경우에는 부글부글 끓는 소리가 나며,소리가 나는 중심정을 찾는다.가장 크게 들리는 곳이 바로 누수지점이다. |
|
'기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정 - 전기/설비/도어/조명 (0) | 2011.01.27 |
---|---|
[스크랩] 위생설비 배관누수에 의한 원인분석 (0) | 2011.01.27 |
[스크랩] 철강용어 정리 (0) | 2011.01.27 |
[스크랩] 보일러 세관 관련 자료 (0) | 2011.01.27 |
[스크랩] 동부속 & 황동부속 (0) | 201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