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삼경(四書:三經)/ ♬ 울며 헤진 부산항 ★先人들의 敎育書 四書三經은 주로 人間으로서 따라야하는 行身之道가 으뜸이다. 君師父一體라는 嚴格한 倫理는 이미 떠난지 오래고 지금 제자가 스승을 치는師徒의 敎權이 무너지고 있다. 但只 利害得失의 技術敎育에 앞서 人性을 바로잡아 道德性 回復을 위한倫理敎育이最于先 이라고본다.
가지를 하얗게 뒤덮은 '옥매'
<아래사진은 대구송일초등학교 화단에서 2011.봄 촬영함> 사서(四書)
▣대학(大學): 공자(公子)의 손자 자사(子思)가 예기(禮記) 49편 중에서 제 42편으로 들어있던 것을 별책으로 엮은 것입니다. "대학는 공자가 남긴 글이고, 초학자가 덕으로 들어가는 문호이다. 지금에 있으면서 옛날 사람들이 학문을 한 차서(次序)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은 오직 이 책이 남아 있기때문이고, 논어와 맹자는 그 다음이다. 배우는 사람들이 반드시 이 책에 따라서 배운다면 거의 오차를 범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말로 그 중요성을 말할 수 있습니다. ▣논어(論語):공자의 언행록입니다.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의 사후에 편찬한 책입니다. 공자는 인(仁)에 대하여 일관되게 말하고 있습니다. 인은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람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공자의 자기 수양 과정은 "공자가 말씀하시길, 나는 십오세에 志하고, 삼십세에 立, 사십오세에 불혹(不惑), 오십세에 지천명(知天命), 육십오세에 이순(耳順).칠십세에 종(縱)하여, 마음이 내키는 데로 하여도 규범에 벗어나지 않는 경지에 올랐다.(心所欲不踰炬)
공자가 언급하지 않는 내용도 시세에 순응시켜 부가하였습니다. 공자가 인(仁)만 말씀하신 것을 의(義)를 덧붙여 설명하고 있고, 인의(仁義)를 근본으로 하여 패도를 백격하고, 인뿐만 아니라 절제를 존중하였습니다. 특히 인간은 본래 선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중용(中庸): 유교의 고전으로 공자의 손자 자사의 저서라고 합니다. 내용은 성선설을 중심으로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을 명백히 하고 있습니다. 성(性),도(道),교(敎)의 관계, 즉 천명(天命)은 성(性)이요, 명(命)에 따르는 것은 도(道)요, 도(道)를 닦는 것을 교(敎)라고 합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성(性)의 본질을 성(誠)의 입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知),인(仁),용(勇)은 三達德이고, 친(親),의(義),별(別),서(序),신(信)의 오달도는 그 궁극이 성(誠)으로 돌아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기 중의 일편이던 것을 송의 정신(程 )이 따로 떼어내고 주자가 주석을 가해서 사서의 하나가 되었습니다.
삼경(三經) ◆삼경(三經):시경(詩經),서경(書痙), 주역(周易)인 역경(易經)을 말합니다.
중심으로 한 중국 최고(最古)의 시집(詩集)입니다.
정사(正使)에 대한 문서를 수집하여 공자(公子)가 편찬한 책입니다.
경은 양효(陽爻)와 음효(陰爻)를 여섯 개의 선으로 된 그림에 설명을 붙이고 있습니다. 그 각각의 그림을 괘(卦)라고 하는데. 모두 64개입니다. 서죽(三竹) 과 산목(算木)을 써서 그림을 구하여 길흉을 판단합니다. 주역은 음양(陰陽),사상(四象),팔괘(八卦), 등 우주관은 후세 철학,윤리,정치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공자는 주역을 대성이라 하고, 주자는 역경(易經)이라고 불렀습니다.
주해한 글을 모은 것입니다.
|
'한 문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래된 詩 (0) | 2012.06.14 |
---|---|
[스크랩] 명심 보감 말씀 (0) | 2012.06.14 |
[스크랩] 옛 시조(50편) (0) | 2012.06.14 |
[스크랩] 단기4345년,2012년도 4월달력 절후표/春江花月夜 봄 강 꽃 달 밤 - 張若虛 /8폭병풍/춘강 제작 (0) | 2012.04.27 |
[스크랩] 건강 치매예방운동 (0) | 201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