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 수 지 리

[스크랩] 인생설계론

양사랑 2014. 8. 18. 10:08

인생설계론

1. 사주그릇의 크기(분수)

사람은 자기 분수를 알아야 하는데 종지만한 그릇으로 장독대의 물을 받으려고 해서 될 일이 아니요, 장독대와 같은 그릇도 스스로 알지 못하면 종지만한 물만 받아쓸 뿐이다. 사주공부를 한 사람은 자기 그릇을 알고 스스로 처신을 잘하며, 또 자기 가족과 친지, 남의 그릇을 알고 조언을 해 줄 것이니 이 얼마나 보람있고 복된 일인가.

가. 자기 그릇을 아는 사람
① 분수에 넘치는 허욕(虛慾)을 부리지 않는다.
② 분수에 맞는 일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업적을 성취한다.

나. 자기 그릇을 모르는 사람
① 분수에 넘치는 허욕(虛慾)을 부리다 실패한다.
② 자기 역량을 모르고 작은 일에 안주한다.

다. 그릇에도 사주에 따라 다름이 있으니 다음과 같다.
① 관록그릇 ② 재물그릇 ③ 공부그릇 ④ 복록그릇
어떤 사람은 관록그릇은 큰데 공부그릇이 작고, 어떤 사람은 공부그릇은 큰데 재물그릇은 작은등의 차이가 있다.

2. 사주그릇의 쓰임새(진로)

길을 갈 때는 목적지가 있어야 한다. 목적지를 정하지 않고 길을 가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으로 방황하고 세월을 헛되이 보내게 된다. 이는 특히 부모와 친척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니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일찍 자기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고 준비를 한다면 성공이 빠르고 수월할 것이며 큰 일을 해낼 것이다.

가. 그릇의 쓰임새
관록그릇이 크고 공부그릇이 작은 사람은 관직으로 나아가야 하고 공부그릇이 크고 재물그릇이 작은 사람은 학자,교육자의 길로 나가야 할 것이니 이것이 그릇의 쓰임새다.

나. 자기 진로를 아는 사람
① 자기 길을 찾지 못하고 허송세월하는 일이 없다.
② 성공이 용이하고 빠르다.

다. 자기 진로를 모르는 사람
① 자기 길을 찾지 못하고 허송세월한다.
② 허송세월하면 다시시작하여야 하니 성공이 더디고 어렵다.

3. 철든 사람(때, 운)
옛적의 백락(伯樂)이 있어 천리마를 감정하니 명마(名馬)가 모두 그의 손에서 나왔다. 이와 같이 큰 그릇을 가진 인재도 그를 알아보고 써주는 사람이 있어야 큰 일을 할 수 있다. 인재도 때를 잘못 만나면 쓰이지 못한다. 이와 같이 철든 사람은 때를 아는 것이니 공부할 때 공부하고 일할 때 일하며 쉴 때 쉬는 것이다.
인생은 바다에서 배를 타고 항해하는 것과 같으니 때로는 순풍이 불기도 하고 때로는 역풍이 불기도 한다. 순풍이 불 때는 더욱 열심히 노를 젓고 앞으로 나아가야 하고 역풍이 불 때는 잠시 쉬고 바람을 피하는 것이 좋다. 만약 이와 반대로 역풍에는 앞으로 나아가려 하고 순풍에는 안주하여 쉰다면 하는 일마다 어렵고 고통받을 것이다.

가. 운을 아는 사람
운이 나쁠 때는
① 자기계발을 한다. (공부를 하거나 기술을 익힌다.)
② 투자를 하지 않고 월급생활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며 미래를 설계한다.
④ 사업체를 운영한다면 위탁하여 운영하거나 소극적으로 절제한다.

운이 좋을 때는
① 열심히 활동하고 노력하여 크게 성취한다.
② 미래의 나쁜 운을 대비하여 미리 대비책을 세워놓는다.

나. 운을 모르는 사람
-. 운이 나쁠 때는 일을 벌이고 싶은 충동이 생기는데 이를 자제하지 못하고 투자하거나 사업을 확장하다
    실패한다.
-. 운이 좋을 때는 좋은 운에 안주하여 열심히 일을 하지 않고, 또 미래를 대비하여 미리 준비하지 않으니
    나쁜 운으로 바뀌면 크게 고통받는다.

4. 좋은 인연(사람보는 눈)
사주공부를 한 사람이라면 모름지기 사람보는 눈을 갖추게 될 것이니 善人인가 惡人인가 그 사람의 그릇이 얼마나 되는가, 그의 때(운)이 언제 오는가를 보고 좋은 인연을 찾아 때를 알아 쓰면 수월하게 일을 성취할 것이니 이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사주공부를 하는 보람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

가. 사람보는 눈이 있는 사람
① 덕이 있는 사람, 운이 좋은 사람을 가려 만난다.
② 사람의 성격과 재능을 파악하여 적재적소에 쓴다.
③ 덕이 없는 사람, 운이 나쁜 사람을 피한다.

나. 사람보는 눈이 없는 사람
① 운이 나쁘면 운이 나쁜 사람과 만나 일이 실패한다.
② 사람의 적성을 모르니 하는 일이 여의치 않다.
③ 남의 감언이설에 속기 쉽다.

5. 발복시기에 따른 인생설계

가. 육십년의 용신운
행운을 타고 난 사람이다. 예컨대 목화용신인데 대운지지가 寅卯辰巳午未로 나간다.
사주청탁의 정도에 따라서 대발복, 소발복으로 나뉜다. 그러나 운이 좋다고 너무 자만
하거나 나태해서는 못쓴다. 말년에 기신운이 올 것이니 미리 노후를 대비해 놓아야 한다.

나. 삼십년의 용신운

① 초년희신운
예컨대 목화용신인데 대운이 巳午未申酉戌로 나간다. 반드시 초년에 승기를 잡아야 하니 이 때를 놓치면
한평생 힘들게 산다.

② 중년희신운
예컨대 목화용신인데 대운이 亥子丑寅卯辰으로 나간다. 초년에는 너무 일찍 일을 벌이지 말고 공부하고 실력을 충분히 닦아서 중년을 대비하고 중년에 승기를 잡는다.

③ 말년희신운
예컨대 목화용신인데 대운이 酉戌亥子丑寅卯辰으로 나간다. 초중년에는 착실히 직장생활을 하거나 희신이 되는 세운에 작은 기반이라도 조성해놓고 말년을 대비한다.

다. 육십년의 기신운
木火用神인데 대운지지가 申酉戌亥子丑으로 간다.
그러나 아무리 기신대운이라도 10년을 돌아가는 중에 희신운이 올 것이니 그 때 열심히 노력하여 작은 기반이라도 만들어 놓아야 한다. 큰 욕심을 부리지 말고 분수를 지켜야 한다.
단, 이런 사주의 경우 중간에 요절할 수도 있다.

출처 : 디벨로퍼아카데미(부동산개발.투자.분양.급매물)
글쓴이 : 장운혁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