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에 계신 어머니의 몸이 점점 쇠약해져 이제 정신이 혼미해질 정도로 상태가 나빠졌다.
피가 생명의 상징인 이유 - 산소를 온몸으로 전하기 때문
사람의 몸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 덜 중요한 게 없겠지만,
피가 물보다 진한 이유, 혈구와 혈장 때문이다
혈청 단백질은 크게 알부민(albumin)과 글로불린(globulin)으로 구분한다. 글로불린은 전기장 내에서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알파(α), 베타(β), 감마(γ)로 구분할 수 있다. 피 속에 들어 있는 단백질 중 양이 가장 많은 알부민은 전체 혈장 단백질의 약 60%를 차지하며, 수많은 종류의 단백질이 혼합된 글로불린은 약 35%를 차지한다. 섬유소원은 약 4%를 차지하며, 나머지 1%는 효소, 풋효소(효소전구체), 호르몬과 같이 인체 내에서 조절기전을 담당하는 단백질이다.
피는 온몸을 돌아다닌다.
그런데, 8번과 9번 인자는 그 유전인자가 X염색체에 존재한다. 따라서 여성은 X염색체를 2개 가지고 있으므로, 한쪽 X염색체가 이상이 생겨도 다른 쪽이 보완을 해 주기 때문에 혈우병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X염색체 두개에 모두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출산되지 않아, 사실상 여성의 경우 8번과 9번 인자 결핍으로 인한 혈우병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남성은 X염색체가 하나 밖에 없어 혈우병이 많은 것이다. 그러나 여성에서도 X염색체가 아닌 보통 염색체에 존재하는 11번 혈액 응고인자가 결핍되는 경우, 혈우병이 발생할 수 있다.
추울 때는 수축하고 더울 때는 팽창하는 혈관, 체온을 조절한다
혈관이 체온조절을 담당한다고 해서 체온조절 중추가 혈관에 있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체온조절기구의 최고기관인 체온조절 중추는 뇌의 시상하부에 있다. 추울 때 운동을 하면 근육의 수축작용에 의해 열이 발생하므로 그냥 있는 것보다 추위를 이겨내기가 쉬워진다. 근육의 수축작용에 의해 발생한 열은 혈액에 의해 흡수되어 몸에서 열을 필요로 하는 조직으로 재분배된다. 변온동물은 그때그때 체온을 변화시켜 가며 생명을 유지할 수 있지만, 사람은 온도가 일정한 정온동물이므로 체온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을 잘해야 한다.
혈관의 총 길이는 10만km!
한 사람의 몸에 존재하는 혈관의 길이는 약 10만km에 이른다.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것이 약 4만km이므로 지구를 두 바퀴 반 돌 수 있는 셈이다. 이러한 수치는 추정치이므로 정확히 재 본 사람은 아무도 없고,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혈관도 있으므로 정확히 잴 수도 없다. 사람 몸에 들어 있는 피의 양은 체중의 약 8% 정도다. 사람마다 체중에 차이가 있으니 피의 양도 달라지며, 일반적으로는 보통 4~6리터의 피를 지니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사람의 체격이 과거보다 커지고 있으므로 헌혈 때 뽑아내는 피의 양도 과거에는 320mL였으나, 지금은 남자어른은 400mL를 뽑기도 한다. 피의 비중은 물의 비중이 1이라 할 때, 1.06 정도로 물보다 약간 크다. 그러나 점도는 5배 정도 더 강하므로 끈적끈적함을 느낄 수 있다. 탈수가 일어나면 혈액이 더 진해져서 점도도 더 진해진다. 피의 pH는 7.4 정도로 중성에 가까운 약염기성이다.
글 예병일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교육과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저서로는 [내 몸 안의 과학] [의학사의 숨은 이야기] [현대 의학, 그 위대한 도전의 역사] 등이 있다.[내 몸 안의 과학]은 교과부에서 2008년 상반기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되었다.
[출처] 혈액의 중요성|작성자 글로벌마마수경
자료주소 = http://blog.daum.net/hazor0114/43
***********************************************************************************************************
윗 내용에 보충하여 한말씀 올립니다.
읽어 보신 것처럼 혈액은 우리 몸의 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혈압이 높다는 것은 혈관이 동맥경화로 인하여 좁아지거나 혈액에 이물질이 많아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혈관을 넓혀 주거나 혈액을 깨끗하게 하여 주면 혈압이 내려가고 혈액순환도 좋아지는 것입니다. 약초는 동맥경화를 제거하여 혈관을 넓혀 주기도 하고, 혈액을 깨끗이 하여 혈압을 낮추어 주기도 하고 우리 몸의 장기를 튼튼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도와 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혈압약으로 혈압을 낮추는 것은 피의 양을 줄여서 혈압을 낮추거나, 심장박동을 약하게 하여 혈압을 낮추거나, 교감신경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거나 그외 다른 방법으로 혈압을 낮춥니다. 그러므로 혈압약 보다는 약초를 섭취하여 혈압을 낮추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의 학 상 식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일리지 적립하듯 쌓은 분노, 화병 (0) | 2016.08.04 |
---|---|
[스크랩] 혈압약 복용여부 판단방법 (0) | 2016.07.07 |
[스크랩] “고혈압 예방을 위해 유산소 운동 만큼 좋은 게 없다” (0) | 2016.03.31 |
[스크랩] 심장의 구조와 기능 - 좌심실,, 좌심방, 우심실. 우심방 (0) | 2016.03.31 |
[스크랩] 여러가지 증상 유발하는 치루 증상은?[일산치루치료잘하는곳] (0) | 2016.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