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제공- 출처: JAMA, Vol.298 No. 14, October 10, 2007 저자: Janet M. Torpy, MD |
정서적 ∙ 신체적인 스트레스들은 심혈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급성 스트레스는 모두 순간적으로 생기지만 만성 스트레스는 오랜 기간에 걸쳐 발생합니다. 심장이 오랜기간 동안 높은 수치의 카테콜라민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스트레스 호르몬(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을 포함한 카테콜라민)은 심장을 손상시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는 산소 요구량이 많아지고, 관상동맥 경련, 심장 전도 시스템의 전기적인 불안정성이 나타납니다. 만성 스트레스를 받은 신체는 그 작용에 필요한 혈액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의 과부하를 일으키게 되어 맥박과 혈압을 올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본태성 고혈압(스트레스와 관련이 없는 고혈압)이나 오랜 기간동안 상승된 혈압은 신체에 해로움은 물론 심근경색(심발작), 심부전, 부정맥과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가정의 불화나 결혼으로 인한 어려운 문제들 • 빈곤이나 금전적 어려움 등의 문제들 • 직장에서 생기는 스트레스 •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환 • 교대 근무 또는 야간 근무 • 학교 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 학업과 병행하여 직장생활을 하거나 가족부양에 대한 책임이 있을 때 • 담배와 술 또는 약물 남용 • 자녀를 양육하면서 노인을 돌볼 때 • 외로움 • 맥박수 증가 • 고혈압 • 부정맥 • 산소 요구량 증가 • 흉통 • 호흡 곤란 • 매일 적절한 운동을 하세요 • 과일, 야채, 잡곡 등을 섭취하여 건강한 식사 습관을 유지하세요 • 금연하세요 • 술은 소량만 드세요 • 마음의 평온, 명상, 기도, 독서, 요가 그리고 이완요법 등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세요 • 가족, 친구 그리고 동료들이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문제를 솔직히 털어놓고 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대화하세요 • 심장 질환이 있다면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출처 : 고혈압을 식품으로 이겨내는 사람들
글쓴이 : 자상한 원글보기
메모 :
'의 학 상 식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혈압은 항상 변함없이 일정한가요? (0) | 2016.09.22 |
---|---|
[스크랩] 고혈압치료 - 측정할 때마다 정상혈압이 될 때까지 (0) | 2016.08.17 |
[스크랩] 마일리지 적립하듯 쌓은 분노, 화병 (0) | 2016.08.04 |
[스크랩] 혈압약 복용여부 판단방법 (0) | 2016.07.07 |
[스크랩] 혈액이 우리 몸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이유 (0) | 2016.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