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 종 약 초

[스크랩] 산나물과 독초 구별방법

양사랑 2016. 9. 2. 14:23


         

산나물과 독초 구별방법

 


일반적으로 나물과 독초를 구별하는 방법은

 

1.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따서 냄새를 맏아 보면 나물은 향긋한 냄새가 나지만, 독초는 역겨운 냄새가 나는 것으로 구별할 수도 있다.

2. 생식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소(牛)가 먹을 수 있는 식물은 모두 사람도 먹을 수 있다고 한다. 시골에서 소를 키워보면 소가 풀을 뜯어 먹을 때 코로 냄새를 맏아 보고 풀을 뜯어 먹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소는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색맹이라고 한다. 소가 우리 사람들처럼 나물에 대하여 학습을 한 것도 아닌데 먹을 수 있는 풀과 없는 풀을 구별하는 것은 냄새를 맏아 보고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런 만큼 냄새를 맏아 보고 식용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 원시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상당히 합리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3. 또 한가지 구별하는 방법은 식물의 잎에
벌레(균이 아닌 곤충) 먹은 흔적이 있으면 먹을 수 있는 식물로 보아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벌레도 독초를 먹으면 죽게 되므로 벌레가 먹는다는 것은 사람에게도 먹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방법은 벌레와 사람이 독소에 대한 반응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판단의 근거로 삼을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은 극한 상황에서 생명을 연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써 먹을 수 있을지 몰라도 그렇지 않는 평상시에는 충분히 식용여부를 확인을 한 후에 먹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나물 또는 약초라도 그것이 설사 산삼이라고 하여도 100% 먹을 수 있다는 확신이 서지 않고서는 함부로 입에 넣어서는 안된다.


유독성 식물

각종의 식물에는 독이 있으며 그 독의 다소에 따라 독초,익초로 분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자주 식용하는 감자의 어린 싹과 푸르게 변한 육질에는 솔라닌이란 독이 있으며, 토마토와 가지도 덜 익었을 때 먹으면 아리는데 바로 독소이다. 또한 살구씨와 메밀의 속껍질과 아주까리의 씨, 잎에도 독이 있으며 아주까리 잎의 독은 삶으면 없어진다.
이처럼 독초라 하여도 가공하거나 요리하면 없어지는 것도 있고 독소의 양이 아주 작아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도 있고, 독성도 그 가공이나 처리함에 따라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산에서 자라는 풀 중에서도 독초와 익초가 있는데 독초는 모양도 나물과 비슷한 것이 있고
독초이면서도 이름이 나물인 것이 있으므로 특별히 주의를 하여야 한다. 산나물 중 고사리의 경우 절(寺)에서는 消陽劑라하여 양기를 떨어뜨린다고 하여 애용하며, 고사리에는 양기를 떨어뜨리는 아네우리시나라는 성분은 비타민B1을 파괴시키며, 또한 고사리에는 미량의 브라켄톡신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방광암을 유발시키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고사리를 삶고 물에 우려내고 말렸다가 요리해 먹는다. 삶거나 우려 내는 과정에서 많은 량의 독소가 빠져나간다. 그러나 우리는 고사리를 독초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우리나라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독초에 대하여 알아본다.


 

옻나무, 칠목(漆木) 칠수(漆樹)

 


(참옻나무)

옻나무는 참옻나무와 개옻나무가 있는데 산에 있는 것은 대부분 개옻나무이다.
참옻나무는 낙엽교목으로 키는 7m가량이고 나무껍질은 회백색을 띠며 잎은 홀수 깃꼴겹잎이며 잎은 난(卵)형 또는 깃꼴겹잎이고 톱니가 없다. 암수 딴 그루이며 잎,줄기,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흰색 진액이 흘러나오는데 이를 옻이라 하고 칠(漆)감으로 최고급으로 친다. 장롱이나 목재품의 칠감으로 쓴다. 이 액에 묻으면 사람에 따라 다르나 옻이 오른다. 옻이 오르면 피부에 진물이 나며 엄청나게 가렵다.
사람의 체질에 따라 다르나 옻이 타는 사람과 그렇지 않는 사람이 있는데 타지 않는 사람의 경우 옻나무의 어린 잎을 식용할 수 있다.
옻의 수액이 피부와 접촉하면 과민성 피부염을 일으켜 충혈, 가려움증, 물집, 화농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내복하면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증, 항문 및 회음부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옻의 삶은 물에 닭을 곤 것을 옻닭이라 하며 요즘 별미로 친다. 옻닭요리는 소화기계통 특히 설사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다.


(개옻나무)

개옻나무의 줄기는 회백색이나 나무순은 붉은 색을 띠고 있다.
수액을 옻이라 하고 구충, 월경불순, 어혈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피부와 접촉하면 과민성 피부염을 일으키며 충혈, 가려움증, 물집, 화농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내복하면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증, 항문 및 회음부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미치광이풀

 

미치광이풀은 4-5월 고산지대의 습지에 잘 자라며 5월초 황색 또는 자색의 작은 종모양의 꽃을 피우며 뿌리는 어른 손가락 굵기로 옆으로 뻗는다. 줄기의 뿌리부분이 자색을 띠며 키는 20-60cm정도이다.
뿌리 줄기는 진통 진경재로 약용한다.
이를 먹게 되면 독성이 너무 강해 소화기계통의 마비, 땀이 나오지 않으며, 눈앞이 캄캄해지며, 호홉이 느려지고, 발열, 흥분, 불안, 환각 증상이 나타난다. 마치 미친 사람처럼 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맹독성 식물이다.
뿌리줄기는 10g이상 먹었을 때 생명이 위험하다.

앉은부채

 

천남성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산의 습지에 잘 자라며 키는 30cm 이내이며 3-4월경에 먼저 꽃이 피고 잎이 달린 후 6-7월경에 열매를 맺으며 꽃이 크며 불꽃모양의 광배 속에 꽃이 피며 꽃에서 썩은 냄새를 풍겨 수분을 한다. 독성이 강하며 잎을 먹은 경우 구토, 복통, 설사, 어지럼증, 시각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뿌리는 진통, 이뇨, 기관지염 천식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박새

 

박새는 다년생 외떡잎 식물로 키는 30- 100cm 정도되며 고산지대의 숲에 자라고 있다. 모양은 개불알꽃과 생김새가 비슷하나 잎과 키가 더 크다.
뿌리줄기는 강심, 이뇨, 혈압강하 등의 효능이 있으나 독성이 강하며, 비듬제거재 등에 이용된다.
과량 복용하면 상복부 흉골 뒤쪽의 동통, 침흘림, 구토, 설사, 혈성대변, 어지럼증, 두통,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천남성

 

천남성의 키는 성장 년수에 따라 다르나 10-60Cm정도이며, 우리나라 전역에 자란다. 독성이 강하다. 잎은 5갈래이며 뿌리는 토란뿌리처럼 구형이다.

뿌리는 중풍, 구안와사, 반신불수, 간질 등과 뱀에 물린 상처의 치료에 사용하는 한약재로 쓴다.

생식으로 중독되면 인후가 타는 듯하며, 입과 혀가 굳으며, 침을 흘리고, 인후가 충혈되며, 어지럼증, 질식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동의나물

 

우리나라 산의 습지에 잘자라는 다년생풀이며 잎은 넓고 두꺼우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4-5월에 노란색 꽃이 피며 이름이 나물이지만 먹지 못하는 독초이다.

초오, 투구꽃

 

우리나라 각처에 자생하고 미나리아제비과 초오속에 속하며 키는 장소에 다라 다르나 60-100Cm정도이며 잎은 새발가락처럼 갈라져 있고 9월경에 보라색 투구모양의 꽃이 핀다. 뿌리는 새발모양이며 독성이 강하며 약용으로 쓴다.

옛날 뿌리줄기를 짓찧어서 화살촉에 발라 동물사냥에 이용할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뿌리는 마늘쪽 모양으로 생겼으며 뿌리를 부자(附子)라고하며 이는 작년의 뿌리옆에 올해 새로운 뿌리가 붙어(附)서 생긴 뿌리라는 뜻이다. 뿌리의 주성분은 aconitine으로 성인의 피하주사 치사량이 3-4mg정도로 맹독성이며 생약의 경우 5g이상 먹으면 위험하다.열로 가공하면 이 성분이 분해되어 독성이 떨어진다.
중독되면 입과 혀가 굳고 사지가 비틀리며 두통,혈압강하, 구토, 복통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은방울꽃

 

은방울꽃은 다년생 외떡잎 식물로 키는 30- 50cm 정도되며 고산지대의 숲에 자라고 있다. 산마늘과 생김새가 비슷하나 잎이 더 얇고 흰색의 작은 초롱모양의 꽃이 핀다.
뿌리와 열매는 강심제 이뇨제로 쓰며, 과량 복용하면 중독될 수 있다. 중독되면 식욕감퇴,타액분비과다, 메스꺼움,구토 등의 소화기 계통의 증상이 나타난다.

현호색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역에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 자라며 4-5월경에 보라색의 아름다운 꽃이 피며 왜현호색, 좀현호색, 섬현호색, 괴불주머니, 점현호색, 댓잎현호색 등 종류가 많으며 모두 독성이 있다.

애기똥풀

 

우리나라 각지의 집근처 담장이나 논두렁 받두렁에 많이 볼 수 있으며 4-5월에 황색 꽃이 피고 잎이나 줄기에 상처를 내면 노란색의 애기 똥처럼 진액을 내며 역한 냄새가 난다. 유독식물이다.
이질, 위통, 기관지염, 황달, 간염, 간경화증의 치료에 사용하며, 과량 복용하면 어지럼증, 두통, 메스꺼움, 사지마비, 혈압강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산나물 요리법


산나물을 먹기 위하여 사전에 간단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나물에 묻어 있는 흙이나 오물등을 흐르는 물에 씻고, 떫은 맛이 나는 것은 물이나 연한 소금물에 우려내어 떫은 맛을 제거한다.
쑥의 어린 순으로 국을 끓이거나 떡을 해 먹는다. 씀바귀는 어린 순과 뿌리를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무쳐먹는다.민들레는 어린 잎을 생으로 쌈하거나 된장국에 넣어 먹는다.달래는 연한 새 잎과 땅속 줄기를 생으로 초장에 먹는다.엉겅퀴는 연한 잎을 삶아 무치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나물은 뜯은 뒤 바로 조리해야 제 맛을 잃지 않는다. 삶아서 물에 담가두면 쓴 맛이 빠지고 부드러워진다.


 

1. 생식, 쌈 싸 먹기, 데쳐 먹기
제일 간단한 방법으로 산나물을 그냥 물에 씻기만 하고 쌈장과 함께 싸 먹거나 살짝 데쳐 먹으면 된다. 재료로는 소금, 고추장, 된장, 식초 겨자 등이 있다.
쌈으로 먹을 수 있는 나물 종류 : 곰취, 산마늘, 참취, 호박잎, 참나물


 

2. 나물 무쳐 먹기
그냥 먹기에는 거칠거나 썬 경우 끓는 물에 살짝 데친다. 그리고 들기름을 살짝 넣어 나물을 무친다. 들기름을 넣는 이유는 참기름을 쓸 경우 향기가 너무 진해 나물 자체의 향을 즐길 수 없기 때문이다

 

 

 


3. 나물 튀각
산나물을 밀가루 반죽하여 끓는 튀김기름(식용유)에 튀겨서 먹는다.
참죽나무, 생강나무 잎, 들깻잎 등은 찹쌀가루나 밀가루를 입혀 튀각으로 만들어 먹는다.

 

4. 묵나물로 사용
참취, 미역취, 단풍취, 쑥부장이, 으아리, 광대사리,멸가치,개미취 등은 데친 후 물에 우려내고 말려 묵나물로 사용한다.


5. 녹즙
채소나 산나물은 生으로 먹는 것이 효과적이며 녹즙도 생으로 먹는 좋은 방법이다. 녹즙은 가공하지 않은 상태로 식물체속에 포함하고 있는 엽록소와 비타민, 미네랄, 효소, 그 외 未知의 성분들이 싱싱하게 살아 있는 그대로를 섭취하는 데 있다.
녹즙의 재료는 무잎, 상추잎, 미나리, 양배추, 파셀리, 케일, 당근 등으로 녹색이 짙고 수분이 많은 것과 감나무잎, 매화나무잎, 소나무잎 등이 좋다. 산나물 중 호장근, 참소루쟁이, 수영 등 수산(蓚酸,Oxalic acid,옥살산)을 함유하고 있는 종류는 생으로 많이 먹을 경우 結石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생즙 재료의 野生草는 일반적인 산나물을 위주로 하며 藥用식물(당귀,더덕등)의 잎을 이용하여 녹즙을 내는 경우엔 약효도 함께 효과를 볼 수 있다.

 

6.국이나 찌개
냉이, 달래, 소루쟁이, 엉겅퀴, 호장근 등은 찌개를 끓여 먹는다.

 

7.짱아지
참죽나무잎, 더덕, 도라지, 잔대, 무 등은 반쯤 말려서 고추장이나 된장에 담가 짱아지를 만들어 먹는다.

 

8. 구이
더덕,도라지,잔대 등은 구이를 해 먹는다.

 

 

9. 생채로
도라지, 달래,미나리,파 등은 생채로 쌈을 싸 먹거나 썰어 비빔밥을 해 먹는다.

 

10.고음
무릇의 비늘 줄기는 조려서 물엿처럼 고음으로 해 먹는다.

 

11. 나물죽
쑥, 냉이 등은 소량의 쌀이나 보리와 썩어서 나물죽을 끓여 먹는다.

 

12. 녹말
도토리,얼레지 등은 녹말을 만들어 요리해 먹는다.


13. 다식
차를 마실 때 다식을 곁들이면 차 마시는 분위기가 한결 부드럽다.
다식은 신라, 고려시대에 성행하던 차 마시는 풍습으로, 먼저 차의 향기와 맛을 본 뒤에 다식을 먹는다.
다식으로는 꿀, 송화가루, 깨, 쌀가루 등을 반죽하여 무늬가 새겨진 다식판에 찍어 만든 송화다식, 흑임자(검은깨)다식, 약과 등과 잣, 호두, 땅콩 같은 것으로 다식을 만들 수도 있다.

 

14. 차
당귀뿌리,차풀,구기자열매,오미자열매,결명자,마가목줄기 등은 차를 만들어 먹는다.

 

15. 산나물김치
산나물김치는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각종 산나물, 들나물, 재배 채소와 잣즙, 들깨즙, 땅콩즙, 호박죽, 보리밥, 밀가루죽, 감자 삶은 물 등을 사용하여 담백함과 함께 특유의 맛을 즐길 수 있다. 양념으로는 소금이나 간장, 고춧가루, 생강, 통깨 들이 주로 쓰이고 산초를 넣기도 한다. 경북청송지방에는 참취김치,곰취김치가 판매되고 있다.

 

16. 간식
다래,으름,산밤,개암,산복숭아, 돌배의 열매는 간식으로 먹을 수 있다.

 

17. 약수
고로쇠나무, 자작나무 수액은 약수로 먹는다


 

    



출처 : 송암사람들(소달문화연구원)
글쓴이 : myolimcho(묘림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