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건축관련 전시회를 다녀 왔습니다.
그런데 그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위면적(m2)과 단위체적(m3)을 칭하는 말이 대부분 잘못된 외래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보고 놀라지는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현장에서도 그렇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생산현장에서 부터 사용도가 100%에 가까우니까 관련된 모든 곳이 현장용어를 따름이고 심지어는 naver의 지식in에서 대부분의 사람들(학생들까지도)이 그렇게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daum과 naver 의 검색창에 평방메터(m2)를 칭하는 "회베" 입방메터(m3)를 칭하는 "루베"를 검색어로 넣었더니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동의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말도 아니고 공용어도 아닌 잘못된 외래어가 우리나라 전체를 집어 삼키고 있는 괴물처럼 느껴졌습니다.
아래는 이렇게 잘못 사용되고 있는 외래어를 걱정하는 어떤 분의 글을 naver에서 옮깁니다.
출처 : http://man-jin.co.kr/myeonjeog.htm
헤베 와 루베에 관하여
우리가 헤베와 루베는 일본말이라고 생각하시죠 맞는 말이긴 합니다만 정확히 일본말도 아닌 콩글리쉬 식으로 일본말이 축약되어 불러지는 한국식 일본말이라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1. 평방미터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평방미터 (㎡)헤베라고 하지요
일본에서는 평방미터를 평방미 (平方米()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일본어로 표기를 하여보면 へいべい 즉 한국말 그대로 표현한다면 헤이베이 라고 쓸 수 있습니다. 결국 헤이베이에서 이는 장음으로 처리되고 즉 へ-べ- (헤에베에) 로 발음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에자도 생략하고 헤베로 쓰여지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2, 체적 또는 부피 또는 입방미터 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루베)라고 하지요
여기서 체적 = 부피 = 입방미터 똑같은 말입니다.
일본에서는 입방미터를 立方米 라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입방(立方)은 일본어 사전을 찾아보면 りっぽう
리쯔뽀우로 읽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입미(立米)는 りゅうべい 류우베이로 읽혀집니다. 여기서도 류우베이가 りゅ - べ - 즉 류우베에 이렇듯 길 게 읽혀 졌을거라 생각 되어집니다. 이러던 것이 한국에 서는 축약하여 류베 로 읽혀졌다가 류 발음이 어려우니까 아마도 루베 로 읽혀졌을거라 봅니다.
주의 : 본 운영자도 짧은 일본어실력에 혹시나 잘못된 글을 올리지 않나 조심스럽지워 올리지 않을까도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어원자체는 틀리지 않기에 일본어 사전을 펼쳐보면서 신중있게 다룬 것이므로 같이 공부한다는 자세로 참고적으로만 알고 계시기 바랍니다. (혹시 이글을 본분중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주저하지 마시고 메일 로 바로 연락하여 주신다면 감사하겠으며 곧바로 수정하여 올리겠습니다 )
다음은 naver지식in에서 어떤 분의 물음에 대한 저의 답변입니다.
문의하신 분께는 전문을 올리는 것에 대해서 모두 잘 사용하자는 뜻에서 이니만큼 먼저 이해를 구하겠습니다.
높이가다른면 헤배계산법 질문이요 내공잇어요
비공개
조회61 답변1
답변이 완료된 질문입니다. (2007-04-07 22:09 작성)
re: 높이가다른면 헤배계산법 질문이요 내공잇어요
lml1130 (2007-04-08 02:37 작성)
질문자 평
굳
'기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돈의 가치 외 (0) | 2009.10.21 |
---|---|
[스크랩] 설계도서 작성기준 (0) | 2008.10.29 |
[스크랩] 설계시 꼭 알아야할 치수, 용어 (0) | 2008.10.29 |
[스크랩] 건축물 유지관리 이렇게 합시다 (0) | 2008.10.29 |
[스크랩] 건설현장의 잘못 사용되고 있는 용어를 정리한다. `옹벽`편 (0) | 2008.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