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술 자 료.....

[스크랩] [보일러] 온수온도 1도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에 대해 답변부탁드립니다.

양사랑 2010. 2. 18. 18:43

[보일러] 온수온도 1도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에 대해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보일러담당자 인데요. 열교환기에 온도조절밸브가 달려있지 않아 설치
를 할려구 그러는데요.60도에 셋팅해서 난방을 시켜주는데 그거를
설치함으로써 얼마의 금액이 절약 되는가 궁금해서요.
물 1도를 높이는데 열량이 얼마나되나요? 실내등유를 쓰고 있거든요.
물의질량과 비열과 온도차를 곱한게 열량인데 기름은 발열량을 쓰잖아요.
열량과 발열량은 단위가 키로칼로리 인데 이게 똑같은 건가요?
아니면 다른거라 따로 계산하는 공식이 있나요?
이걸 계산해서 설치하여 기름이 얼마나 절약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전문가 분들의 해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팔 계 ≫ 에고... 1kcal=순수한물 1kg 을 14.5 ℃ ~ 15.5 ℃ 로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입니다. ..열량이나 발열량은 같은말이라 할수 있습니다..입열.출열,흡열,발열..이런게 있는데 모두 열량입니다. [2003/09/23]
 leemingu 열량은 물의양 * 물의비열 * 온도차입니다 그럼 님께서 질문한 온도1도올라갈때 열량은 1리터의 물같은경우는 1kcal/h가 필요합니다 물의양이 많거나 온도차가 많으면 그열량도 상기 공식과 같이 많아지겠지요 그렇담 여기에서 물의비열은 1kcal/kgoc 입니다 즉 물 1kg 1도시 놈이는데 필요한열량으로 물질에따라 다른데 물 [2003/09/23]
 leemingu 같은경우는 비열이1입니다 정해저있죠 그리고 열료의발열량 으로 위의 나온열량을 나누어서 개산하면 열료량이 나옵니다 등유의 발열량을 알면 위식은 쉽게 풀립니다 물의양 * 비열 * 온도차(60 - 15) 나누기 연료의 발열량 = 연료량이 나옵니다...........
 
[보일러] 다시 한번 여쭙겠습니다. 
 
 
 
어제 답변 주셔셔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데 염치불구하고 궁금한게 있어서요.
보일러에서 송기 되는 곳이 어제 얘기한 그곳만 가는게 아니구
여러군데로 보내지거든요.난방하는 곳이 4군데 정도의 열교환기로
송기 됩니다.하지만 저희회사에는 증기유량계가 설치되지 않았거든요.
그러면 그열교환기로 얼만큼의 증기가 보내지는지 모르잖아요.
또 60도 이상이 될때의 필요이상의 증기량이나 열량을 알아야 하는데..
이게 계산이 불가능 할것 같기도 하고... 제가 너무 광범위 하게 말씀
드리는건지.... 참고로 배관구경은 100A이고 열교환기의 전열면적은
0.07루베 입니다.대충 1도 높이는데 송기되는 유량 데이터가 존재하나요?
아 이거 애매한 질문만 하는거 같아 죄송합니다.
그리고 보일러 동체 후부가 크랙이 가서 때웠는데 무슨 검사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Re:다시 한번 여쭙겠습니다. 
 
 
 
님의 질문과 관련하여 열량관계는 화력지원님과 이민구님이 답을 했으니
생략하고 보일러 동체후부가 크랙이가서 용접했는데 무슨검사를 받아야 하느냐 하는 질문에 관해 답을 해보겠습니다. 여러번 이야기 했지만 질문시에는보일러의 종류와 년식,제조메이커,용접한이유,용접방법,용접길이 또는 개소 등을 알려주어야 판단을 할수있는데 이런 형태의 질문에는 답하기가 상당히 곤란합니다. 예를 들면 환자가 의사한테 인터넷으로 질의를 하면서 내가 배가아픈데 무슨약을 먹어야 하느냐고 질의를 하면 의사가 무어라 답을 하겠습니까? 나이는 몇살이고 음식은 무엇을 먹었고 평상시에도 이런일이 있었고 증세는 어느부위가 어떻게 아프고 증세는 언제부터 있었다는등 상세한 내용을 알려주어도 진찰하지 않고 이야기만 듣고 판단하기가 어려울것인데 보일러 관련 용접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구체적인 사항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동체가 크랙이 간부분을 임의로 용접하여 사용하다가 용접후 몇일만에
대형폭발사고로 이어진 서울 H 호텔의 사고가 94년에 있었습니다.
지하4층에서 천정의 콘크리트를 차례로 뚫고 1층 로비까지 올라왔으니까
파괴력이 대단했죠. 자세한 내용을 올려주시면 다시 답을 해드릴께요 
 
 형-주일 용접 검사 받아야죠 그러면 검사 수수료 내야죠 용접후 자체 수압 검사를 해서 누수 없어면 사용 가능 합니다. 클릭이 발생 주 원인 수질 연수 사용 합시다.
 
 Re:다시 한번 여쭙겠습니다. 
 

반갑습니다...

열교환기의 증기 유량을 조정하여서 연료비를 절감하는 데이타는 일반

적으로 나와 있는 것은 없으며 각 현장의 조건에따라서 같은 기기라 할

지라도 다소 차이가 있는것으로 사료되며, 증기 유량 밸브를(자동)설치

하여서 절감할수있는 차이는 수동으로 하는것과 자동으로 유량을 제어

하는 차이이니 인위적으로 감시하는 것과 안하는것의 차이가 아닌가 합

니다..

직접적인 큰 차이는 없으나 사람이 일일이 수동으로 제어를 하지 안아

도 되니 인건비 측면에서 본다며는 절감의 효과를 볼수는 있을 것 입니

다..

시설물이 방대하고 크다 보며는 수동적인 조작 보다는 자동으로 움직이

는 씨스템을 사용하는것이 보다 효과적인 관리가 되지않을까 합니다

열교환기의 열량 환산은 열교환기의 내용적으로 하는 것이아니고 전열면

적으로 계산을 하는 것 입니다.

열사용처에서의 증기의 압력은 고 압 보다는 저압으로 갈수록 열의 특성상의 잠열을 이용하기가 좋은 조건이며,재 증발증기의 발생율을 줄여서 증기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나오는 것이며,이는 바로 연료비 절감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증기 설비는 보일러에서 부터 사용압력,이송관경 ,감압,응축수 배출,재증발증기의 방지,등등 다양한 검토를 하여야 기대효과를 볼수 있는것입니다, 단순히 어느 하나의 문제 보다는 전반적으로 증기 씨스템을 점검하여서 판단을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 입니다...

현재 증기 시설물에 대한 내용을 올려 주시며는 아는데로 검토를 해 드릴수가 있습니다...

 
Re:다시 한번 여쭙겠습니다. 
 
 
열량은 물의양 * 물의비열 * 온도차입니다 그럼 님께서 질문한 온도1도

올라갈때 열량은 1리터의 물같은경우는 1kcal/h가 필요합니다 물의양

이 많거나 온도차가 많으면 그열량도 상기 공식과 같이 많아지겠지요

그렇담 여기에서 물의비열은 1kcal/kgoc 입니다 즉 물 1kg 1도시 놈이

는데 필요한열량으로 물질에따라 다른데 물 같은경우는 비열이1입니

다 정해저있죠 그리고 열료의발열량 으로 위의 나온열량을 나누어서 개

산하면 열료량이 나옵니다 등유의 발열량을 알면 위식은 쉽게 풀립니

다 물의양 * 비열 * 온도차(60 - 15) 나누기 연료의 발열량 = 연료량

이 나옵니다........... 어제 이렇게 답글을 적었죠 여기서 물의양은

열량 나누기 비열 곱하기 온도차로 해도 나오고 또 실무에서는 급수량

계있죠 급수량을 리터단위로 계산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물량이 스팀으

로 변할때는 체적이 1.777배 커지므로 급수량에 곱해주면 증기의 유량

이 나오겠죠 그리고 그리고 증기의 체적구하는 공식은 보일샤를법칙을

이용하면됩니다 보일러기능사책에 잘나와 있습니다 이곳에 적을려면

복잡해서 설명이 불가능합니다 또 더 정확한것을 알고 싶으면 평균적으

로 산출되 됀 자료가 책자로 나와있습니다 주식회사 삼양밸브(삼양콘트

롤라)에 가보면 무료로 제품 카다로글를 주는데 그책자 범례에 자세히

잘나와있어요 실무에서는 보통이책자를 근거로 응용하여 많이 계산합니다

또 스파이랙스 사코라는 회사에도 위와같은 자료가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표가 있습니다

출처 : 화/력/지/원/의/건/축/기/계/설/비/클리닉
글쓴이 : 화력지원최재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