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 산

[스크랩] 등산시 보행 요령

양사랑 2010. 4. 8. 21:02


.등산시 보행요령
 
등산과 관련한 서적이나 안내서들을 보면 호흡법이니 보행법이니 하는 용어를 쓰고 있는 경우가 많다. 등산의 기본으로 중요한 문제임에도 대부분 쉽게 받아들여 무심히 넘어가는게 일반적이다.
 
산행을 잘 하는 사람들은 산에서 축지법을 쓴다. 축지법이란 길을 접어 거리를 줄이던가 굽이 도는 길을 펴서 빨리 가는 방법일 것이다. 리듬을 타면서 발을 놓는 위치선정이 좋아지면 축지법이 가능해진다.
 
빨치산 이야기를 대하다 보면 하루밤새에 상상을 할 수 없을 만큼 멀리 이동했다는 글을 읽는 경우가 많다. 물론 과장된 면이 없지 않겠으나 전혀 허황된 이야기는 아니다. 그럼 이제부터 축지법을 배워보자.
 
산행을 처음 시작하여 경사진 산길을 걷게 되면 누구나 숨이 가빠지고 다리에 근육통이 오는 등 고통을 겪기 마련이다. 그러다보니 산행을 오래한 사람들도 등산을 힘들게 오르는 일이라고 생각하며 다른 즐거움을 위한 고통쯤으로 생각한다. 상쾌한 기분으로 걷는 재미는 사라져 버렸다.
 
1. 어떤 점이 평지에서와 다른가

경사진 산길을 걷는 것은 평지를 걷는 것과 우선 운동량에서 차이가 있다. 휴식시의 운동량 및 산소요구량을 1이라고 했을 때 산에서 경사를 오를 때는(9kg 정도의 배낭을 메고) 8.8배 정도의 산소량을 요구하며, 경사를 내려올 때도 휴식시의 5.7배 정도를 소모하게 된다고 한다.
 
다음으로는 울퉁불퉁한 산길을 걷는 것은 평지를 걷는 것보다 균형잡기가 어렵다. 균형을 잡기 위해 다리 근육은 물론 다른 부위의 근육도 많이 사용하게 되어 피로감이 크다.
 
다음으로 산행을 시작하면 오래 걷는다는 것이다. 평지에서 1시간 이상 걷는 경우는 거의 없다. 산행은 최소한 5시간 정도는 걷게 된다.
이외에 걷는 조건이 다를 수 있다. 땀이 나서 젖은 옷을 입고 차가운 바람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로 체력소모가 많을 수 있다.
 
2. 등산에서의 보행요령

보행의 기본은 밸런스(평형)와 리듬(율동)이다. 산행을 잘 하는 사람을 보면 가벼운 어깨춤을 추듯 유연하게 움직인다.
 
밸런스와 리듬을 유지하려면 우선 보폭이 적당해야 한다. 빨리 간다고 무리하게 보폭을 넓히면 상하운동이 심해져서 쉬 피로해지게 된다. 적당한 보폭과 함께 부드러운 호흡이 필요하다. 호흡은 자연스럽게 발걸음에 맞추어야 하며, 숨을 들이 쉬고 내 쉬는 것은 같은 간격으로 한다. 그러나 숨쉬기를 너무 의식하게 되면 그 의도적인 노력 자체로 인하여 자신의 호흡템포를 놓쳐 더 숨찰 수도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숨이 가쁘다고 해서 계속해서 심호흡을 하면 과량의 산소섭취로 인해 현기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양 어깨의 힘을 빼고 편한 자세로 상체를 앞으로 조금 굽히며, 무릅은 조금만 올리면서 걸음을 내 딛는다. 내딛는 발바닥에 몸의 중심을 옮기며 땅을 밟는다. 땅을 밟을 때는 발끝이나 발뒤꿈치를 사용하지 말고 발바닥 전체로 안정감 있게 디뎌야 한다. 
 
산행에서 하산도 오르는 것 만큼 힘든 과정이다. 선두와 후미의 차이도 오를때보다 하산시에 더 벌어지게 된다. 산행사고도 오를때보다는 하산시에 많이 일어난다.
 
일단 신발끈을 앞쪽부터 꽉조여 발이 놀지 않도록 하고 발을 가볍게 딛고 무릎을 굽혀 충격을 흡수하는게 요령이다. 급한 경사에 미끄러지는걸 두려워하여 몸이 움츠러들어 기다시피 내려서게 되는데 이것은 시야를 너무 좁게 집중시켜 두려움을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시야를 서너 발자국까지 넓혀 멀리보고 등산로 상태와 발 딛을 곳을 살피며 이동하는게 좋다.
 
3. 올바른 호흡법

산행 중 겪는 고통의 하나가 움직이지 못할 정도의 가쁜 호흡이다. 산행을 시작하면서 심장박동과 호흡이 빨라져 운동량이 자신의 심폐능력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더 이상 숨을 쉴 수 없을 정도로 숨이 가빠지고 심장은 마치 터질 것 같아진다. 이것은 운동량에 비해 산소와 혈액의 공급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렇게 신체에서 요구하는 산소량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면 산소 부족상태에 이르게 되는데 이런 상태를 사점(死點)이라고 하며, 더 이상 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사점에 도달하는 운동량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산행 중 한번씩은 겪게 된다.
 
사점에 빨리 도달하는 것보다 서서히 도달하는 것이 좋다. 사점에 가까워진다고 느껴지면 걷는 속도를 늦추고 심호흡을 충분히 하여 신체가 사점을 잘 극복하도륵 해야 한다. 이때 너무 오랫동안 휴식을 취하면 다시 사점을 겪게 된다. 이렇게 한 번 사점을 잘 극복하여 페이스를 조절하면 신체가 잘 적응하여 걸음이 한결 가벼워진다.
 
초반에 너무 빨리 걸어 금새 사점에 도달하여 페이스 조절을 못하고 무산소운동 상태를 지속하여 녹초가 되거나, 사점을 느낄 때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자포자기하는 사람들은 사점을 올바로 극복하지 못하여 산행내내 무거운 걸음으로 움직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숨을 쉴 때 코로 호흡하는 습관을 들이라고 하지만 코만 이용하여 숨을 쉬면 산행중에 필요한 산소량을 충분히 공급하기 어렵다. 따라서 코와 입으로 필요한 만큼 충분한 산소를 마시는 것이 지치지 않는 방법이다.
 
4. 산행을 잘 하려면

정리하여 산행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우선 평소에 걷는 시간이 적으므로 산행에 필요한 근력을 기르는 과정이 필요하다. 큰 산을 가기전에 작은 산을 꾸준히 올라 적응하는 과정을 갖고 자신의 체력을 테스트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산길을 걸을 때 시야를 넓게 갖고 등산로를 살피며 자신이 발을 놓을 위치를 판단하는 요령을 습득하는게 필요하다. 평지를 걷듯 터벅터벅 걷는건 좋은 습관이 아니다. 일정한 속도로 평형을 유지하며 리듬을 타는게 중요하다. 시야를 넓게 갖는게 축지법의 첫걸음인 셈이다.
 
자신의 페이스로 사점을 관리하는 요령을 익혀야 한다. 너무 빨리 사점에 도달하여 녹초가 되거나 사점에 접근하기 전에 겁을 먹고 미리 쉬어버리는건 좋은 습관이 아니다. 또한 너무 오래 쉬면 사점에 다시 만나게 된다. 개인적 경험으로 산행 시작후 30분에서 1시간 정도에 사점을 통과하는게 좋은 것 같다. 산행을 자주 하는 사람은 15분 정도에 사점을 통과한다.
 
결국 근력을 키우고 산행시 시야를 넓게 가져 발을 놓는 위치를 안정감 있게 갖는게 축지법의 기본이다. 여기에 발걸음이 평형을 유지하며 리듬을 탄다면 피로감을 한껏 줄이는 방법이다. 

등반가는 아찔한 쾌락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아닌, 진실을 찾는 사람으로 여겨져야 한다. 그들은 단지 말초적 열락(悅樂)이나 훈련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과 주변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등반한다.

신경을 피곤하게, 지치게 하는 어려운 등반루트들은 그들의 능력을 평가받고 인격을 완성하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시적인 고난이다. 등반에서 얻는 결과는 위험한 루트를 통과하여 봉우리를 등정하는 그 이상이며, "자기완성"에 이르는 길이다.

다른 스포츠나 여가활동에 비교한다면 등반은 "자기확인"의 길이며, 자연과 만남을 통해 성장과 활력을 되찾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짧은 시간에 인간감정의 극한들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이고, 살아있다는 즐거움과 위험에 직면하여 느끼는 두려움을 경험할 수 있는 길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므로 등반에서는 인간 삶의 본성을 쉽게 엿볼 수 있는 셈이다.


등산에는 인간경험의 집약적인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인생의 축소판같이 보일 수 있다. 등산은 역경에 직면하여 용기를, 긴장되는 상황하에선 품위를, 분통터지게 하는 환경에서는 인내와 관대함을 요구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일상에서의 성공과 올바른 정신을 유지하기에 필요한 요소들이다.

등산은 모든 면들에서 인간역경을 맛 볼 수 있기에 삶의 다른 형태와 비추어 볼 때 그것들의 극한상황과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아마도 등반가에게 만이 아니라 일반대중에 대해서도 등산의 매력이 어필되는것은 등산의 이러한 은유적인 차원 때문일 것이다. 

.


출처 : 사즐모(댄스스포츠 사교댄스 모임)
글쓴이 : 꽃미남2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