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절. 조절계 PID 동작 |
1. 개요 |
|
가. 조절계의 운전 모드 |
1) 수동운전 |
|
2) 자동운전 |
|
3) 캐스케이드 운전 |
|
가. 제어 동작 |
1) 제어동작과 인간 |
|
2) 제어의 목적 |
|
나) 외란에 대한 억압성 |
|
|
2. 비례 동작 |
비례동작(Proportional Control)이란 조작량이 편차에 비례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제어방식이다. 따라서 제어량의 변화에 따라 조작부는 연속적으로 순조롭게 동작하게 된다. |
|
비례대와 감도와의 관계를 보면은 비례대는 감도 KG 에 비례한다. 그러나 조절계에서는 감도를 사용하지 않고 비례대(PB:Proportional Band)를 사용한다. 비례대는 100을 감도로 나눈 것이며 단위는 %이다. |
|
비례동작의 특성은 비례대를 적게하면 서서히 감도가 좋아져서 규칙적인 사이클이 발생한다. 또한 비례동작으로 제어시 언제나 비례대가 0 보다 크므로 필연적으로 목표치 변경이나 외란에 의하여 잔류편차 (Off Set)가 발생하게 된다. |
|
조절계의 편차에 대한 조작량의 변화 방향은 조작부 및 프로세스 특성에 맞추어 선정할 필요가 있다. 즉, 설정치에 대해서 측정량이 증가할 경우 플러스 제어편차가 나올때 조작량이 증가하는 동작을 정동작이라 하며, 반대로 플러스 편차에 대해서 조작량이 감소하는 동작을 역동작이라 한다. |
3. 비례 적분 동작 |
적분동작(Integnal Control)이란 입력편차의 시간 적분치에 비례한 크기 출력을 연속적으로 내는 제어동작이다. 적분 동작은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비례동작과 같이 사용되므로 비례 적분동작이라 한다. |
|
비례 적분동작 일반식 및 응답특성
|
4. 비례 적분 미분동작 |
미분 동작(Derivative Control)이란 입력편차의 시간 미분치에 비례한 크기 출력을 연속적으로 내는 제어동작이다. 미분 동작은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비례동작 또는 비례 적분동작과 같이 사용되므로 비례 적분동작이라 한다. |
|
1) 비례 미분동작 일반식 및 응답특성
|
2) 비례 적분 미분동작 일반식 및 응답특성 |
3) PID 동작의 효과요약 나. 적분동작의 효과: 적분시간을 짧게 했을때 다. 미분동작의 효과: 미분시간을 길게 했을때 |
|
밸브 동작에 대하여 |
제1절 조작부 구성 및 동작원리 |
1. 조작부 구성 및 동작원리 |
|
2. 조절밸브 종류 및 선정 |
조작부의 대표적인 조절밸브의 종류는 프로세스 요구에 따라 여러 형태의 것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분류하는 방법은 조작 신호에 의한 전기식, 공기식,유압식,자력식 밸브로, 개폐부 모양에 따라 게이트,플러그,글로브, 버티플라이,다이야프램,앵글,볼, Y Type 밸브로 구분한다. 2) 전기식 3) 유압식 |
나. 조절밸브의 선정 ⑵ 사용목적 ⑷ 유체조건 ⑸ 레인지어빌리티 ⑹ 밸브 차압의 선정방법 ⑺ 셔트오프 압력 ⑻ 밸브시트 누설량 ⑼ 밸브 작동 |
|
⑽ 방폭성능 ⑾ 동력원
⑵ KV ⑶ AV 나) CV 계산식 |
|
⑶ 수증기 |
3) 유량특성 |
|
|
제2절 PID 최적조정 |
PID 조절계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경우 PID의 각 정수를 설정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각 정수 설정이 적절하게 되지 않아 제어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되면 안되고 또한, 너무 안정되어 외란이 들어오면 제어편차가 생겨 이로 인한 회복시간이 오래 걸려도 안된다. 제어의 목적에서 생각해보면 잔류편차가 없어야 하고, 안정성이 있으면서 응답이 빨라야 하는 세가지 요소를 만족하는 조정이 되어야 한다. |
1. 한계감도법 (Ziegler Nichols) ○ 한계감도법에 의해 PID 정수 구하는 방법 |
|
5) 주기 PU 와 한계 진동이 발생된 때의 비례대(PBU)에 의하여 아래표와 같이 PID 정수를 결정한다. |
|
6) 얻어진 PID 정수를 조절계에 입력시켜 진폭 감쇄비가 0.25가 되는지 확인한 다음, 프로세스에 따라 다소 조정이 필요시 조정한다. |
|
2. 과도응답법 |
○ 과도응답법에 의해 PID 정수 구하는 방법 |
|
|
|
|
1. 압력의 개념과 단위 |
가. 압력의 개념 | |
P2 - P1 = ρ g h(액체), |
|
※ 중력가속도를 구하는 방법 | |
1) 기체의 압력 가) 보일샤를의 법칙 나) 토리체리 실험 | |
| |
다) 대기압력 1기압은 단면적이 1 ㎠이고,높이가 76 cm인 수은주의 무게에 해당하므로 이것을, 같은 단면적의 물기둥으로 환산하면 수은 밀도가 물보다 13.595 배인 13.595 x76 = 1033.23cm가 된다. 따라서 한쪽이 막힌 판에 물을 채우고 거꾸로 세울때 관의 높이가 10.33 m 이상이 되지 않으면 물은 물은 내려오지 않는다.반대로 모타가 없는 펌프로 물을 끌어 올릴 수 있는 깊이는 10 m 이내이다. | |
| |
여기서
와 P0 는?지표면에서의 공기밀도와 대기압이고
와 P 는 임의 높이 에서 공기밀도와 대기압을 나타낸다. 대기압은 높이에 따라 변하고 대기압 높이에 대한 변화율이 기체의 밀도, 즉 기체무게에 비례하므로 ΔP/Δy = -ρg가 된다. -부호는 지구표면을 기준으로 높이 올라감에 따라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붙게 된 것이다. | |
| |
나. 압력의 단위 | |
1) 압력의 분류 가) 시간적 변화 나) 압력 기준치 ② 게이지압 (상대압) ③ 차압 |
|
2) 압력계 선정 |
|
|
2. 압력 측정 방법 |
가. 측정 방법 |
1. 액주식 압력계 |
가. 측정원리 |
표1. 압력계 종류 |
2. 탄성식 압력계 |
가. 부르돈관(Bourdon -Tube) 압력계 |
|
1800∼3600°의 전체각을 갖고 있고, 변형 형상은 C형과 비슷하며 관끝의 이동은 C형보다 크게 나타난다. 헬리칼형의 중심선은 한 평면상에 있지 않지만 곡률반경은 일정하다. 비틀림형은 부르돈관을 길이방향으로 비틀은 것으로 비틀린 회수는 2∼ 6회이며, 관의 중심선은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다. |
|
2) 압력계 원리 |
|
3) 부르돈관의 구조 |
나. 다이아프램 (Diaphragm) 압력계 다이야프램 압력계는 고정시킨 환산형 주위단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있는 얇은 막의 형태(평판형,파형, Capsule형)로서, 가해진 미소 압력의 변화에도 대응된 수직방향으로 팽창 수축하는 압력 소자이다. |
2) Diaphragm 종류 및 응용 |
가) 비금속 Diaphragm 응용 |
|
다)격막식 압력계 P' - P" = h . ρ
|
3) Diaphragm 압력계의 장,단점 |
가) 장점 |
다. 벨로우즈식 압력계 |
1) 측정원리 벨로우즈(Bellows)는 그 외주에 주름상자형의 주름을 갖고있는 금속박판 원통상으로 그 내부 또는 외부에 압력을 받으면 중심축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을 일으키는 압력계의 일종이다.
|
벨로우즈의 선형성을 증가하기 위해서 스프링과 결합하여 제작한다.이때
|
3. 전기식 압력계 |
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압력센서 2) 반도체 스트레인게이지 스트레인게이지 종류별 특성 |
|
나. 정전 용량형 압력센서 |
|
정전 용량형 압력센서를 사용한 예를 보면은 현장에서 압력 또는 유량검출을 위한 차압측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측정소자를 보면은 2개의 양측 금속다이야프램은 본체 중심부를 관통한 연결축에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축 중앙부에는 원판상 금속판인 가동전극이 있으며, 이 가동전극 양쪽에는 세라믹 소제의 고정전극이 있어 양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을 발생하고있다. |
|
다. 압전식 압력 센서 |
|
2) 압전형 압력센서의 응용 |
|
|
|
|
1. 유량의 개념 |
가. 유량의 개요 나. 관로내 유체의 흐름 |
|
실제로 원통형 관내의 유속분포를 측정하여 보면은 점도가 높은 경우 관 벽과 유체의 마찰력은 크게 작용함으로 유속분포는 변화한다. 유속이 느릴 때는 점도가 낮은 유체가 흐르는 것과 같은 유속분포를 가진다. 즉, 관로내의 흐름이 층류일때는 관의 단면에서 본 유속은 거의같은 유속분포가 된다. 즉,유체의 흐름이 층류로부터 난류로 되는 것은 유량의 크기에 의하나 그것은 유체의 점성의 크기에 좌우됨을 알수 있다. ReD =
가) 유로의 흐름중에 있는 임의 물체의 대표적인 길이를 L 이라 하고, 유체의 |
|
다) 관로내 차압식 유량 검출소자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대표적인 길이로서
|
라) 관로내 관로의 직경(D)를 대표적인 길이로 하고,평균유속 대신 체적 유량
|
2. 유량계 설치 |
가. 설치기준
|
3) 스트레이트너(정류장치)
|
나. 유량계 설치공사 |
|
|
|
1. 온도의 개념과 단위 |
가.온도의 개념 나. 온도 단위 |
1) 열역학적 온도눈금 |
열역학 제2 법칙을 표현 하는데는 Kelvin -Planck의 표현과 Celsius 표현에 의하여사이클 장치의 작동한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열기관은 단일 열원의 열교환에 의해 작동될 수없으며, 또 냉동기는 외부로 부터 에너지 입력 또는 일을 받지 않고는 작동될 수 없다는 카르노원리에 의해 즉, 동일온도를 유지하는 열원으로 부터 끄집어 낸 열을 일로만 바꾸게 하는 일은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가역사이클이 성립되는 열기관에서 2개의 열원 사이 열기관을 작동시키는 구조, 또는 구성 물질에 상관없이 효율의 측정 또는 열량비 측정은 온도비로 나타낼 수 있음과 동시에 온도개념 설정시 열역학적인 의미에 있어서의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θ2/ θ1 = Τ2/ Τ1(열량비 = 온도비)가 성립되고, 이 이론을 바탕으로 해서 먼저, 온도비를 온도 눈금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상 기체를 가지고 에서 행하게 된다.보통 사용하는 온도계는 유리관속에 수은이나 알콜등을 넣은 액체 온도계이지만 물질의 온도에 따른 팽창 비율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사용하는 액체 또는 보호관 유리의 종류에 따라서 온도의 지시값이 달라지게 된다. 하나의 예를 들면, 수은온도계로 측정한 50 ℃의 온도는 알콜 온도계에서는 50.7 ℃가 되는데, 이 경우 두 온도계의 눈금 스케일은 0 ℃와 100 ℃는 일치되어 있다. 또 같은 수은 온도계를 사용 하더라도 유리관 재질에 따라서 그 지시값은 달라진다. 그러나 기체의 경우 온도에 따른 팽창의 비율이 저온에 접근하면 거의 일정한 상태로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상기체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상기체 상태에서는 온도에 따른 체적 팽창의 비율이 일정하므로 정압하에서는 온도 1 ℃ 상승함에 따라 0 ℃ 체적에 비해서 1/273.15씩 증가한다. 즉, β =1/273.15은 체적의 팽창계수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기체중 수소나 헬륨을 이용한 정적 기체 온도계가 사용된다. |
보일샤를의 법칙에 의거 이상기체를 이용한 정적기체 온도계로 물의 3중점과 물의 비점에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체적변화를 실측하고, 그 연장선을 그었을때 체적계수 값이 구해짐과 동시에 완전 체적이 0이 되는 지점의 온도가 즉, -273.15 이다. 우리는 흔히 이 온도를 절대영도라 칭하거나 절대값을 캘빈값 이라고도 칭하고 있다. 그러므로 절대 영도를 기점으로 물의 3중점을 273.16 K라 정하고, 순수한 물이 어는 지점과 비점을 373.15 K라 정해서, 그 사이를 100등분 시킨 것을 온도의 기본 눈금으로 정함으로써 열역학 온도눈금이라 칭한다. |
|
2) 국제 온도 눈금 |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열역학적 온도눈금인 기체 도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 열역학적 온도를 재현 하고자 할때, 그 장치가 이론적으로, 기술적으로 까다롭기 때문에 실현성이 희박하게 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공업계기 또는 과학기기등에 눈금을 새기는 실용적 목적을 위하여 측정이 용이하면서도 열역학적 온도 눈금과 그 측정 정도가 유사한 국제온도 눈금의 필요성때문에 국제 도량형 위원회(CGPM)에서 국제 실용 온도눈금이 1927년 부터 채택 되어, 내용에 대한 수정 및 온도눈금의 기준 채택을 거쳐 현재 쓰고 있는 있는 ITS-90이 제정되었다. ITS-90에서 정한 국제 온도눈금은 아래와 같이 온도 측정범위를 4개로 나누고, 각각의 측정 영역에 따라 정확도 및 재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른 온도계를 사용하였으며,SI 국제 단위계에 따라 계량단위는 켈빈도(K)를 사용하고 있다. | ||||||||||
※ 각종 온도 눈금 | ||||||||||
|
다. 측정방법 및 온도계 종류 |
1).측정방법에 의한 분류 |
나)비접촉방식 |
접촉, 비접촉 방식의 비교 |
| ||||||||||||||||||
2) 측정 원리에 의한 각종 온도계 | ||||||||||||||||||
|
| |||||||||||||||||||||
|
열전식 온도계에 대하여 |
가. 원리 및 열전효과 |
1) 열기전력 원리 |
이때 일정한 온도 유지점을 기준 접점이라 칭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인 점을 측온 접점이라 부른다. |
|
V = Sa(T1 + T2) + Sb(T2 - T1) = 0
|
③ 중간온도의 법칙 |
나. 열전대 |
아래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도체 A, B을 접합하고, 양 접점간에 온도차를 주면 그 사이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회로내에 열전류가 흐르는데 이 원리는 1821년 영국의 제벡이 구리와 안티몬 사이에서 발견한 현상으로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제벡효과라고 한다. |
1) 열전대별 특징 2) 열전대의 분류 ( 한국 공업규격 KSC 1602- 1982 ) |
|
|
|
|
보상도선의 종류별 분류 가) 열전대별 분류 (KSC 1609) |
비고 1. KX-G, KX-GS, KX-H, KX-HS, EX-G, EX-H, JX-G, JX-H, TX-G, TX-GS, |
|
|
|
|
열전식 온도계 (1)로부터 계속 됩니다. |
4) 쉬스형 열전대 |
|
쉬스 재질 |
열전대는 쉬스형을 포함하여 열전소선의 굵기와 길이는 발생 기전력의 크기와는 무관하고 다만 소선 선경이 커질수록 사용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그래서 동재질의 선경이 커질수록 그 사용온도 한계를 높이고 있는것은 기전력의 대소와는 관계없이 사용시간 한계 때문이다. |
열전대 구조 |
쉬스형 열전대 구조 |
4) 보호관 |
비금속 보호관 종류 및 특성 |
금속 보호관 종류 및 특성 |
|
2) 검출단이 측정대상에 주는 영향 |
4) 설치에 의한 영향 |
|
설치 개소별 오차 원인 (주철관안에 흐르는 가스의 온도를 측정) (a) : 삽입 심도가 얕고 보온이 안된 외기 노출부가 있기 때문에 -45 ℃ 편차 발생 |
'기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래 쓰고 전기료 싼 3파장 전구의 비밀 (0) | 2011.01.26 |
---|---|
[스크랩] 소방 감지기의 종류 (0) | 2011.01.26 |
[스크랩] 피엘시 기초 (0) | 2011.01.26 |
[스크랩] 계장 (자동제어) 이야기 (0) | 2011.01.26 |
[스크랩] 전선의 종류와 용도 (0) | 201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