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5.gif)
|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5.gif)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8.gif) |
죽어 혼이 되더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 [다른 뜻] |
풀을 맺어서 은혜를 갚다
. 곧 죽은 뒤에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5.gif)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9.gif) |
중국 춘추 시대 때 진나라의 위무자라는 사람에게는 사랑하는 첩이 있었다. 위무자는 병이 위독해자자 아들인 과를 불러 자신이 죽으면 첩을 개가(改嫁)시키라고 부탁하였다. 그러나 병이 점점 위독해져서 생명이 위태롭게 되자, 그는 다시 첩을 함께 묻어 달라고 유언을 하였다. 위무자가 죽자, 과는 "사람은 위독해지면 정신이 혼란해지니, 아버님이 온전한 정신으로 하신 말씀에 따르겠다"고 하며,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주었다. 그 후에 과는 진(秦)나라와의 전쟁에서 위험에 처하게 되었는데, 어떤 노인이 나타나 풀을 마주 묶어 적군의 장수 두회가 풀에 걸려 넘어지게 했다. 과는 덕분에 두회를 사로 잡게 되었다. 그날 밤 과의 꿈 속에 풀을 묶던 노인이 나타났다. 그는 "나는 당신이 개가시킨 사람의 아버지입니다. 내 딸을 묻지 않고 개가시켜 준 은혜에 보답한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
[고사 유래]
진(晉)나라에 위무자(魏武子)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그에게는 애첩이 한 명 있었다. 위무자가 어느 날 병이 나 자리에 몸져눕게 되었다. 아직 제정신일 때 그는 아들 과(顆)를 불러 "내가 죽거든 저 여인을 다른 데로 시집을 보내도록 하라"고 유언을 했다. 그 후 병이 위독해지자 이번에는 "내가 죽거든 저 여인은 순절시켜라"라고 유언했다. 이윽고 위무자는 죽었다. 그러자 아들 과는 "오히려 옳은 정신일 때의 유언에 따르자"며 그 여인을 다른 데로 출가시켜 주었다.
얼마 후에 진(晉)나라와 진(秦)나라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서 과도 출전했다. 싸움이 한창일 때 어떤 노인이 적의 두회(杜回)라는 힘센 장수가 공격해 오는 것을 풀을 엮어 막아내고 있었다. 이윽고 두회는 그 풀에 발이 걸려 넘어졌다. 이것을 본 과는 즉시 달려가서 두회를 사로잡아 뜻밖에도 큰 전공을 세울 수가 있었다.
그 후 어느 날 밤, 과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났는데 그는 분명 그 때 풀을 엮던 노인이었다. 노인이 과에게 말했다. "나는 그대가 출가시켜 준 여인의 아비요. 그대의 아버님이 옳은 정신일 때의 유언에 따라 내 딸을 출가시켜 주었소. 그때 이후로 나는 그대에게 보답할 길을 찾았소. 이제야 그 은혜를 갚은 것이오."
|
|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07.gif) |
갚을 보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08.gif) |
갚다, 알리다, 판가름하다.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09.gif) |
(흙 토) , 9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0.gif) |
報答(보답) : 남의 호의나 은혜를 갚음. 報告(보고) : 일의 내용을 알려 줌. |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1.gif) |
1. |
호랑이는 선비의 은혜에 報答(보답)하였습니다. |
2. |
병사는 전쟁 상황을 장군에게 報告(보고)하였습니다. |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3.gif) |
죄를 지은 자에게 그 죄에 상당한 벌을 주어 다스린다하여 '갚다'의 뜻이 된 글자. 회의
|
| |
2,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5.gif)
|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5.gif)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8.gif) |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한 대신을 비꼬는 말.
|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5.gif) |
![](http://dichanja.edupia.com/dic/gosa/image/go29.gif) |
중국 唐나라 현종(玄宗)은 양귀비(楊貴妃)를 총애하다가 나라를 망친 황제로 유명하다. 그러나 즉위 초에는 현인(賢人)을 등용하고 문예를 장려하여 '개원(開元)의 치(治)'라 불릴 만큼 문물의 전성기를 이루었는데, 여기에는 현상(賢相) 요숭(姚崇)의 공로가 컸다. 그런데 요숭이 병으로 정사를 돌볼 수 없게 되자, 노회신(盧懷愼)이 국정을 살폈으나 역부족이었다. 노회신은 청렴 결백하고 근면한 사람이었으나 요숭의 직무를 10여일간 대행할 때 요숭처럼 신속히 처리하지 못하였다. 그러자 그는 매사를 요숭에게 상의한 다음에야 처리하곤 했는데, 사람들은 노회신을 가리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한 재상[伴食宰相]'이라고 불렀다.
<더 상세한 내용>
|
반식재상(伴食宰相)
伴:짝 반. 食:밥 먹을 식. 宰:재상 재. 相:서로 상.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한 재상(대신)을
비꼬아 이르는 말.
<고사내용>
당나라 6대 황제인 현종(玄宗)을 도와 당대 최성기(唐代最盛期)인 '개원(開元)의 치(治)'를 연 재상은 요숭(姚崇)이었다.
개원 2년(713), 현종이 망국의 근원인 사치를 추방하기 위해 문무 백관의 호사스런 비단 관복을 정전(正殿) 앞에 쌓아 놓고 불사른 일을 비롯, 조세와 부역을 감하여 백성들의 부담을 줄이고, 형벌 제도를 바로잡아 억울한 죄인을 없애고, 농병(農兵) 제도를 모병(募兵) 제도로 고친 것도 모두 요숭의 진언에 따른 개혁이었다.
이처럼 요숭은 백성들의 안녕을 꾀하는 일이 곧 나라 번영의 지름길이라 믿고 늘 이 원칙을 관철하는 데 힘썼다. 특히 정무재결(政務裁決)에 있어서의 신속 적확(迅速的確)함에는 그 어느 재상(宰相:大臣)도 요숭을 따르지 못했는데 당시 황문감(黃門監:환관 감독부서의 으뜸 벼슬)인 노회신(盧懷愼)도 예외는 아니었다.
노회신은 청렴 결백하고 근면한 사람이었으나 휴가중인 요숭의 직무를 10여일간 대행할 때 요숭처럼 신속히 재결하지 못함으로 해서 정무를 크게 정체시키고 말았다. 이 때 자신이 요숭에게 크게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체험한 노회신은 매사를 요숭에게 상의한 다음에야 처리하곤 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노회신을 가리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한 재상[伴食宰相]'이라고 냉평(冷評)했다.
[유사어] 시위소찬(尸位素餐) [출전]《舊唐書》 |
|
1-伴 | |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07.gif) |
밥 식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08.gif) |
먹다, 음식, 씹다, 헛말하다, 먹이다.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09.gif) |
(밥 식) , 0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0.gif) |
飮食(음식) : 먹고 마시는 것. 肉食(육식) : 짐승의 고기를 먹음. |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1.gif) |
1. |
飮食(음식)은 먹을수록 줄고 말은 할수록 는다. |
2. |
요즈음 사람들은 肉食(육식)보다는 채식을 즐긴다. |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3.gif) |
食은 밥을 그릇에 가득히 담은 모양에서 '밥', '먹다'의 뜻이 된 글자임. 회의
| |
![](http://dichanja.edupia.com/hasp/hasp0925.gif) |
3-宰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07.gif) |
서로 상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08.gif) |
서로, 보다, 모습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09.gif) |
(눈 목) , 4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0.gif) |
相談(상담) : 서로 의논함. 相扶相助(상부상조) : 서로서로 도움. |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1.gif) |
1. |
어려운 일이나 고민이 생겼을 때는 선생님과 相談(상담)하였다. |
2. |
우리 조상들은 이웃과 相扶相助(상부상조)하는 정신을 가졌다. |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4.gif) |
![](http://dichanja.edupia.com/dic/hanja/image/han13.gif) |
木(나무 목)+目(눈 목). 목수가 재목을 고르기 위하여 나무[木]을 살핀다[目]는 뜻으로, 나무에 눈을 맞댄 형상을 만들어 '살피다', 또는 '서로';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회의
| | | | | | |
출처 : 중년의바다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