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학 상 식 (암,기타)

[스크랩] 역류성 식도염 방치땐 식도암 노출된다

양사랑 2012. 9. 18. 09:48

'오동잎'으로 큰 인기를 얻었던 가수 최헌 씨(64)가 식도암으로 별세하면서 식도암에 대한 관심이 높다. 고(故) 최헌 씨는 감기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가 식도암 진단을 받고 1년6개월 동안 투병생활을 했지만 안타깝게 우리 곁을 떠났다. 그는 애주가이자 인심 좋기로 소문난 사람이었다.

식도는 소화기 계통의 첫 장기로 인두에서 위까지 음식물을 전달한다. 약 25㎝ 길이에 지름 2㎝ 넓이의 근육관(管)으로 구성돼 있다. 지름 1㎝ 안팎의 위내시경이 통과하는 데에도 전혀 문제가 없다. 식도는 원래 쪼그라져 있다가 음식덩어리가 넘어오면 열린다. 식도 관련 질환은 거의 모두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의 역류와 밀접하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식도에 만성적인 염증을 부르고 이는 암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서는 안된다는 게 전문의들 조언이다.

◆ 식도암 증상 없어 대부분 뒤늦게 발견

식도암은 음식물이 통과하는 식도에 발생한 악성종양이다. 식도암 환자는 한 해 2136명(2010년 기준)이 발생해 크게 주목받고 있지 않지만 평소 증상이 없어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식도암은 10만명당 2.8명꼴로 발생하는데 사망률은 폐암, 간암, 위암 등에 이어 8번째다. 식도암은 주로 50대 이후에 발생하며 60대 후반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남성이 여성보다 10배 이상 많이 발생한다. 2010년 식도암 발병 환자를 성별로 보면 남성 1975명, 여성 161명으로 남성이 전체 암환자의 90%를 차지한다. 남성 암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흡연과 음주, 스트레스를 꼽는다.

민영일 비에비스나무병원 원장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식도암 및 역류성 식도염이 많은 것은 과음과 흡연, 과로, 스트레스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식도암은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증상이 없고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다른 곳에 전이된 경우가 많다. 식도암은 주변 림프절로 전이가 흔하며 식도를 둘러싼 장막이 없어 간, 폐, 뼈, 늑막, 부신, 신장 등과 같은 주위 장기로 전이가 빠르다.

대표적인 증상은 암이 커지면서 음식을 삼키기 힘든 '연하곤란(dysphagiaㆍ嚥下困難)'이다. 처음에는 거칠고 단단한 음식을 삼킬 때만 불편을 느끼지만, 점차 부드러운 유동식을 넘길 때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나중에는 물조차 삼킬 수 없게 된다. 또한 가슴 부위의 압박감이나 체중 감소, 쉰 목소리, 딸꾹질이 계속되면 식도암을 의심해야 한다.

식도암을 예방하려면 위점막을 손상시키고 위염을 유발하는 짠 음식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너무 뜨겁거나 맵고 신 자극적인 음식도 피해야 한다. 또 발암물질이 묻어나는 탄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 역류성 식도염 연간 286만명 발생

식도암뿐만 아니라 식도 관련 질환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해야 한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나 펩신 같은 위액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 점막을 자극함으로써 염증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심하면 식도 점막을 손상시켜 궤양과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주요 증상은 속쓰림, 역류, 소화불량 등이며 기관지수축, 후두염, 만성기침, 흉통, 타액 과다분비, 구역 등이 동반될 수도 있다. 남성은 가슴이 타는 것 같은 흉부작열감, 위산역류 등 역류성 식도염의 전형적인 증상을 호소하지만 여성은 소화불량, 속쓰림, 인후이물감 등 비전형적인 증상을 주로 보인다.

역류성 식도염은 당장 생명에 지장을 주지 않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통증 때문에 식사나 수면 등 기본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역류성 식도염 진료 환자는 2000년 36만명에서 2010년 285만9000명으로 최근 10년간 8배나 증가했다.

서정훈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역류성 식도염 및 위장장애는 위산, 소화액, 음식물, 스트레스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치료가 쉽고 빠른 호전을 보이기도 하지만 재발이 잘되고 증상이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역류성 식도염 치료는 크게 일상생활의 조절과 약물요법이 있다. 위ㆍ식도 역류 질환이 있다면 잘 때 잠자리의 상체 부위를 높여 주는 것이 좋다. 또 식후에 곧바로 천장을 올려다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눕는 자세를 취하거나 잠자기 바로 전에 간식을 먹는 것은 좋지 않다. 가능하면 오른쪽보다 왼쪽으로 누우면 위 구조상 소화되기 전 음식물이 하부식도 괄약근에 자극을 덜 줘 생리학적으로 위산 역류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

◆ 암 전조단계 바렛식도 조심해야

식도암도 대장암의 선종(용종)처럼 '바렛식도(Barrett's esophagus)'가 발암 전조증상이다.

바렛식도는 위ㆍ식도 역류에 의해 장의 세포가 식도로 올라오면서 위ㆍ식도 접합 부위에 세포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바렛식도는 10년 정도 기간이 지나면 암 발생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바렛식도가 1년에 0.5% 이하 비율로 식도암으로 발전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보다 발생 비율이 낮다.

백유진 한림대 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기간에 따라 1~5년은 바렛식도 발생이 3배, 5~10년은 5.1배, 10년 이상은 6.4배로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백 교수는 "바렛식도가 발생하면 위ㆍ식도 역류 치료에 준해 약물치료를 하는데, 위험한 조직학적 소견이 나오면 내시경적 시술(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대장암의 용종은 내시경을 통해 제거하지만 바렛식도는 평소 식도염에 걸리지 않도록 생활 속에서 노력해야 한다.

홍기환 전북대병원 교수는 "금연, 금주, 비만 개선과 함께 취침 전 음식 섭취와 식후 즉시 눕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며 "기름진 음식, 초콜릿, 박하, 와인, 콜라, 오렌지주스 등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음식물 섭취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맥주나 포도주와 같이 알코올 농도가 낮더라도 음주는 자제해야 한다. 무엇보다 스스로 자신의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악화시키는 음식을 파악해 해당 음식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민영일 원장은 "위ㆍ식도 역류 질환은 증상이 완전히 치유되더라도 치료를 중단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흔하다"며 "전문의에 의한 조기 치료와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하고 병을 악화시키는 생활습관을 조절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출처 : 디벨로퍼아카데미(부동산개발협의회)
글쓴이 : 최승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