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 산

[스크랩] [등산화와 배낭 ]

양사랑 2013. 2. 23. 11:43

                               

처음 산에 갈 때 가장 필요한 장비는 등산화다. 등산은 걷는 것이고 걷는 데 신발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럼 초보자는 어떤 등산화를 사야 잘 샀다는 소릴 들을까? 등산화라 하면 으레 발목까지 목이 올라온 모양의 중등산화를 떠올리지만, 초보자는 이런 등산화를 살 필요가 없다. 처음 사는 등산화라면 리지화를 선택하는 게 좋다.우리나라 산은 화강암이 많아 육산이라 해도 바위를 디딜 때 등산화의 역할이 중요하다. 리지화는 암벽에서 최적의 마찰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도와주므로 안정감을 준다. 목이 올라오는 일반 중등산화의 경우 10km 이상 길게 걸을 때 유용한데 초보자가 처음부터 그런 긴 산행을 하는 경우는 드물다. 5시간 이하의 당일 산행에서 가장 안정감을 주는 등산화가 필요하다면 리지화를 사는 게 현명하다. 리지화 중에서도 경등산화급의 리지화가 추천할 만하다.


많은 초보자가 “리지는 안 할 거야”하는 생각에 목이 올라온 일반 등산화를 사지만 산행 도중 바위에서 몇 번 미끄러지는 경험을 하고, 리지화 신은 일행이 편안하게 산행하는 걸 보면 리지화를 다시 사게 된다. 이런 불필요한 재구매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첫 등산화는 리지화를 사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리지화란 개념이 없었고 등산화와 밑창을 만드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생긴 새로운 흐름이다. 이후 ‘리지화는 리지화고 워킹화는 워킹화다’라는 개념이 생겼지만 요즘은 그런 개념이 모호해졌다. 리지화 밑창을 쓴 중등산화 모양의 제품들이 나오면서 그런 개념이 허물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최적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보기 위해선, 기존 장비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나의 산행 스타일은 어떤 것이고 여기에 맞는 최신장비는 무엇이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 산행 겸용으로 쓰이는 리지화 제품들


리지화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들이 시중에 나와 있다. 그러나 리지를 할 때는 이런 퓨전 리지화가 아닌 목이 짧은 정통 리지화를 신어야 한다. 그래야 발을 자유롭게 쓸 수 있고 밑창도 바위에서의 마찰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다.  리지화와 일반 등산화의 가장 큰 차이는 밑창이다. 리지화는 스텔스, 트랙스, 트랑고T5 같은 마찰력이 좋은 창을 쓴다. 이런 밑창의 단점은 잘 닳는다는 것인데 주관적인 생각을 얘기하자면 스텔스창이 마찰력은 가장 좋지만 잘 닳고, 트랙스창은 가장 안 닳지만 마찰력은 스텔스보다 약간 떨어지고, T5는 트랙스와 스텔스의 중간 정도다. 5시간 이상 혹은 몇 박 며칠의 중장거리 산행을 한다면 중장거리용 등산화가 필요하다. 중장거리용 등산화도 살펴보면 다양한데 보통 두껍고 무거운 동계용과 사계절용 등산화가 있다. 산행 거리가 길어질수록 중장거리용 등산화를 신어야 하는 건 발의 피로를 줄여주고 한겨울에는 눈과 동상의 위험으로부터 발을 지켜주기 때문이다. 리지화는 신발을 잡고 힘을 주면 밑창이 휘지만 중장거리용 등산화는 창이 딱딱해서 힘을 줘도 잘 휘어지지 않는다. 등산화는 바닥이 딱딱할수록 오래 걸었을 때 발의 피로도가 적다. 그러므로 초보 딱지를 떼고 5시간 이상의 중장거리 산행을 하고자 한다면 등산화도 목이 길고 바닥이 딱딱한 등산화로 바꿔야 발이 편하다.  등산화를 신고 평지에서 발을 디딜 땐 뒤꿈치부터 구르듯이 디뎌야 한다. 걸음이 바른 사람은 밑창 전체가 닳고 속보로 걷는 사람은 뒤축이 많이 닳고 팔자걸음은 바깥쪽이 많이 닳는다.

▲ 왼쪽부터 T5창, 스텔스창, 트랙스창.
산행 후 무릎관절이 아픈 건 등산화 바닥이 딱딱해서가 아니라 걸을 때 발이 틀어지기 때문이다. 흔히들 바닥에 쿠션이 많이 들어가면 관절이 아프지 않을 거라 생각하는데 오해다. 불규칙적인 지형에서 걸을 때 발이 틀어져서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이므로 밑창을 더 깔 것이 아니라 걷는 자세를 바르게 교정해야 한다.등산화 밑창의 대표적인 것이 ‘비브람’인데 이는 이탈리아 브랜드로 밑창의 특수한 고무재질이다. 이 재질이 일반 밑창과 달리 딱딱하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산의 지형에서 강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밑창은 여러 가지 무늬가 있는데 브랜드별로 자사만의 특허 모양이 있기 때문에 밑창의 모양은 브랜드마다 다르다.

▲ 무겁고 목이 긴 중장거리용 등산화들.
등산화의 소재로 흔히 고어텍스가 많이 쓰인다. 우리나라 등산객들은 고어텍스류의 기능성 소재를 맹신하는 경향이 있는데 꼭 고어텍스 소재의 등산화를 사야 하는 건 아니다. 특히 한여름에 고어텍스는 별 역할을 못한다. 수분은 배출하고 공기는 통한다는 건데 한여름 발에서 나는 땀을 다 배출하는 건 사실 힘들다. 비로 인해 등산화가 완전히 젖은 경우엔 고어텍스가 일반 소재보다 물이 더 안 빠진다 고어텍스 같은 기능성 소재는 땀 정도만 살짝 빼주는 수준이지,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건 아니다. 고어텍스가 필요한 건 한겨울이다. 추운 겨울엔 땀을 빨리 빼야 발의 체온을 지킬 수 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동계용은 고어텍스나 이벤트 같은 소재를 사용한 등산화를 권하고, 나머지 삼계절은 비고어텍스 제품을 권한다. 투습력은 고어텍스보다 비고어텍스 등산화가 더 높게 나온다.최근에는 등산양말이 급속한 발전을 이뤄 흡습속건에 중점을 둔 최신 기능성 제품이 많이 나와 있다. 이런 양말은 등산화의 투습방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능성 양말 + 고어텍스 등산화

 

흡습속건 기능을 갖춘 양말과 투습방수 기능을 갖춘 등산화의 만남은 좋은 착용법이지만, 더운 여름 산행에는 발열이 높아 무리다. 그러나 고어텍스XCR이 나오면서 한층 기능이 개선되었다. 동절기와 일반적 산행에 많이 쓰이는 착용법이다.

 

ⓑ 기능성 양말 + 비고어텍스 등산화

비 오는 날에 방수문제가 발생되지만 한여름 맑은 날에는 가장 적합한 착용법이다.

 

ⓒ 일반 양말 + 고어텍스 등산화

좋지 않은 착용법이다. 일반 양말의 흡수성이 등산화의 투습성보다 크므로 양말에 수분이 남게 된다.

 

등산화는 반드시 매장에서 신어 보고 사야 한다. 등산화는 등산용 양말과 일반양말을 겹쳐 신었을 때 손가락 하나가 들어가면 된다. 등산화가 발에 너무 꽉 끼면 혈액순환을 방해해 추울 때 동상에 걸릴 위험이 있다. 반면 너무 크면 발이 등산화 안에서 쓸려 까질 우려가 있다. 발은 대개 저녁에 부풀어 오르므로 등산화는 저녁에 신어 보고 사는 게 좋다. 등산화 끈은 아래에서부터 지그재그로 연결해 조여 주면 된다. 묶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중요한 것은 마지막 고리에서 줄을 꺾을 때 위에서 아래로 줄을 내려 꺾어야 더 견고하다. 그 다음 X 모양으로 교차시켜 이중으로 묶어주면 끈이 풀리지 않는다. 등산화를 오랫동안 신고자 한다면 산행 후 관리가 중요하다. 산행 후엔 먼저 솔로 먼지와 흙을 털어내고 헝겊에 물을 묻혀 진흙 등을 닦아내고 보관한다. 등산화에서 악취가 난다면 깔창을 꺼낸 후 미지근한 물로 신발 안을 솔질한다. 다음 맑은 물로 헹궈준다. 이때 안감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젖은 등산화를 말릴 때는 서늘한 그늘에서 자연건조시켜야 한다.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면 가죽에 손상을 입는다. 습한 환경에서 등산화를 보관해야 한다면 마른 신문지를 구겨 넣어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도록 해야 한다. 등산화에서 악취가 나는 건 양말 부스러기가 땀과 습기를 흡착해 곰팡이가 되기 때문이다.

 

새 등산화 적응 요령▶발바닥 볼이 낀다고 느껴질 때는 발등 부분의 끈 조임을 느슨하게 하면 통증이 줄어든다. 보통 끈을 크로스로 묶지만 통증 부위는 일자로 약간 느슨하게 묶으면 한결 편하다.▶아킬레스건 부위가 끼어 불편할 때는 발뒤꿈치 깔창 밑에 두께 3mm 정도의 패드를 붙여 깔창을 높이면 더 편하다.▶새 등산화를 신어 발목이 아플 때는 발등 부위만 단단히 묶고 위쪽은 첫째 훅까지만 묶어 산행을 하다 익숙해지면 다음 산행 때 두 번째 훅까지 묶는 식으로 단계적으로 적응하는 게 좋다.▶복사뼈가 아플 땐 직경 4cm 정도 되는 얇은 패드를 뼈가 닿는 신발 안쪽 부위에 도넛 모양으로 오려 붙이면 된다.▶새 등산화로 인해 발뒤꿈치나 발바닥에 물집이 생기지 않으려면 속 양말과 겉 양말 두 개를 신는 게 좋다. 이때 겉양말은 쿠션이 좋은 모 양말을 신어야 한다. 

 

자기 몸에 맞는 배낭을 장만하라

 

초보자들이 배낭을 살 때 범하는 가장 흔한 실수는 너무 작은 배낭을 산다는 것이다. 산행을 몰라서 그런 것이지만 20~25리터 배낭은 당일 산행용이라 해도 활용도가 떨어진다. 그래서 산에 몇 번 다니다 보면 배낭이 어림없이 작다는 걸 깨닫고 다시 사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작은 배낭도 작은 대로 용도가 있지만 애초에 30~40리터 배낭을 샀다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일 수 있다.처음에는 물과 도시락만 넣고 다니지만 사계절 산에 다니다 보면 배낭에 넣을 장비가 늘어나기 시작한다. 특히 겨울에는 짐이 더 늘어난다. 그래서 애초에 30~40리터 정도는 돼야 당일 산행에 지장이 없다. 베테랑 산꾼의 동계 야영산행을 위한 배낭은 75리터 이상은 돼야 짐을 꾸리기에 지장이 없다. 그러나 지리산 종주의 경우 요즘은 산장에 시설이 잘돼 있어 45리터만으로도 충분하다. 배낭을 살 땐 등산화보다 실수를 하는 경우가 더 많다. 같은 배낭이라도 체형과 개인적인 산행 스타일에 따라 편의성은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외국 배낭의 경우 M사이즈라 해도 한국사람 표준체형에 비해 큰 경우가 다반사다. 여성용 S사이즈가 표준체형의 남자에게 맞는 경우도 많으므로 배낭은 반드시 짐을 넣어 메어 보고 사야 후회하지 않는다. 그러나 장비점에서 짐을 넣고 배낭을 멜 수 없으므로 산행 중 동료 선후배의 배낭을 메어 보고 가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남의 말만 믿고 인터넷으로 샀다간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엄밀히 따지면 배낭은 자신의 키에 맞추지 말고 상체 등 길이에 맞춰야 한다. 어깨와 목이 만나는 부위에서 골반까지 거리(토르소)를 재면 정확하다. 목은 고개를 앞으로 숙였을 때 톡 튀어나온 뼈이고, 골반은 허리춤에 손을 얹어 등을 만졌을 때 골반과 척추가 교차하는 지점이며 이 사이의 거리를 잰다. 길이 39cm 이하는 XS, 40~44cm S, 45~49cm M, 50cm L 사이즈다.


배낭은 복잡한 형태의 것보다 단순한 디자인의 배낭이 더 좋다. 처음에는 사이드포켓 그물이 있는 게 편리하지만 오래 쓰다 보면 너덜너덜 지저분해지고 바위구간을 지나거나 할 때 수통 같은 짐을 떨어뜨려 뒷사람이 다칠 수도 있다. 어차피 쉬면서 물을 마신다면 손이 더 가더라도 배낭 안에서 꺼내는 게 낫다. 배낭에 지저분하게 컵이나 옷 등을 걸고 가지 말고 모든 짐은 배낭 안에 집어넣는 것이 좋다. 그래야 걸을 때 균형을 잡기도 수월하고 산행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 배낭을 쌀 때는 가벼운 것부터 아래에서 차곡차곡 넣어 빈틈이 없도록 해야 한다. 산행 중 바로 꺼내야 하는 장비는 배낭 헤드처럼 꺼내기 편한 곳에 넣어야 한다.
최근에는 등판 프레임이 굉장히 다양하게 나온다. 프레임이 휘어 통풍이 잘되는 배낭이 최근 유행인데 한여름 산행 시에는 좋지만 짐이 적게 들어간다. 배낭을 꾸릴 때는 조임 끈을 다 푼 상태에서 가벼운 것을 아래에, 무거운 짐을 위에 넣어야 한다. 무거운 짐은 위쪽에서도 가급적 등판에 붙여 넣어야 배낭의 무게중심이 몸 중심으로 온다. 배낭 안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차곡차곡 쌓아 무게가 대칭이 되도록 해야 한다. 옷은 옷대로 식량은 식량대로 잡주머니나 비닐을 써서 분리해서 넣어야 보관이 용이하고 편하다. 우중산행을 할 예정이라면 김장비닐 같은 큰 통비닐을 배낭 안에 넣어 방수포장하는 것도 짐을 보관하는 한 방법이다. 손쉽게 꺼내기 쉬운 배낭 헤드나 전면주머니에는 지도, 나침반, 헤드랜턴, 휴대폰, 바람막이재킷, 카메라 등 운행 중 활용빈도가 높은 짐을 넣어야 한다. 배낭을 단정하게 싸는 건 좋지만 자기과시를 위해 100리터 배낭에 매트리스를 둘러 일명 ‘뽕배낭’을 만들 필요는 없다. 산에 갈 때는 가급적 짐의 부피를 줄이고 무게를 줄여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매트리스도 여유가 된다면 에어매트리스를 사용해 짐의 부피를 줄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아낀 공간에 식량을 더 가져가는 것이 합리적이고 쾌적한 산행을 가능하게 한다.배낭을 멘 뒤에는 먼저 허리벨트를 채운 후 조인다. 허리벨트는 골반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여 당겨줌으로써 배낭 무게가 어깨에 집중되지 않도록 골반으로 분산시켜 준다. 다음 어깨 멜빵을 당겨 조이고, 배낭 윗부분에 있는 무게중심 조절끈을 당겨 배낭을 등에 밀착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가슴벨트를 채우는 데 가슴벨트는 꽉 조이면 호흡이 불편하므로 적당히 채워야 한다. 배낭 메기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무게가 어깨나 허리 등 한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시켜 줘야 한다는 것이다.

▲ 배낭을 멜 때는 먼저 허리벨트를 조이고, 멜빵을 당기고, 상단의 무게중심 조절끈을 당겨 등에 배낭을 밀착시킨다. 마지막으로 가슴벨트를 연결한다.

 


▲ 스틱은 뾰족한 촉이 아래로 가도록 해서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고 이동 시 다른 사람이 다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출처 : Mebius
글쓴이 : 역린 원글보기
메모 :

'등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계절별 등산 장비  (0) 2013.06.19
[스크랩] 등산 나만의 노하우  (0) 2013.04.19
[스크랩] 스틱 한 말씀.펌  (0) 2011.04.27
[스크랩] 명품 산행코스 .와우~  (0) 2010.12.22
등산해야하는 100가지이유..  (0) 201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