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의 학

[스크랩] 14경맥[괄사 요법시 꼭 알아야 할 경락맥의 흐름도]

양사랑 2014. 9. 22. 15:51

-수태음 폐경

 

 


-수양명 대장경

 


-족양명 위경

 


-족태음 비경

 


-수소음 심경

 


-수태양 소장경

 


-족태양 방광경

 


-족소음 신경

 


-수궐음 심포경

 


-수소양 삼초경

 


-족소양 담경

 


-족궐음 간경

 


-독맥

 


-임맥

14경맥

오유혈(오수혈)

중요혈

자모혈보사

오행성속

원혈

낙혈

극혈

모혈

유혈

수태음폐경

흉부, 인후, 기관, 코, 폐질환

정목혈:소상

형화혈:어제

유토혈:태연

경금혈:경거

합수혈:척택

태연

열결

공최

중부

폐유

맥회: 태연

허즉보기모혈:유토혈?태연

실즉사기자혈:합수혈?척택

모경: 족태음경, 비토

자경: 족소음경, 신수

적경: 수소음경, 심화

승경: 족궐음경, 간목

수양명대장경

머리,눈,귀,코,입,이,인후,장급열성질환

정금혈:상양

형수혈:이간

유목혈:삼간

경화혈:양계

합토혈:곡지

합곡

편역

온류

천추

대장유

하합혈: 상거허

허즉보기모혈:합토혈?곡지

실즉사기자혈:형수혈?이간

모경: 족양명경, 위토

자경: 족태양경, 방광수

적경: 수태양경, 소장화

승경: 족소양경, 담목

족양명위경

머리,코,입,이,인후,위장,열성급정신계통질환

정금혈:여태

형수혈:내정

유목혈:함곡

경화혈:해계

합토혈:족삼리

충양

풍륭

양구

중완

위유

위경지하합혈: 족삼리

대장경지하합혈:상거허

소장경지하합혈:하거허

대장경지모혈: 천추

허즉보기모혈:경화혈?gorP

실즉사기자혈:정금혈?여태

모경: 수태양경, 소장화

자경: 수양명경, 대장금

적경: 족소양경, 담목

승경: 족태양경, 방광수

족태음비경

배꼽,위,장,비뇨,생식기계질환

정목혈:은백

형화혈:대도

유토혈:태백

경금혈:상구

합수혈:음능천

태백

공손

지기

장문

비유

허즉보기모혈:형화혈?대도

실즉사기자혈:경금혈?상구

모경: 수소음경, tal화

자경: 수태음경, 폐금

적경: 족궐음경, 간목

승경: 족소음경, 신수

수소음심경

흉부,혀,심흉,정신계통질환

군화

정목혈:소충

형화혈:소부

유토혈:신문

경금혈:영도

합수혈:소해

신문

통리

음극

거궐

심유

허즉보기모혈:정목혈?소충

실즉사기자혈:유토혈?신문

모경: 족궐음경, 간목

자경: 족태음경, 비토

적경: 족소음경, 신수

승경: 수태음경, 폐금

수태양소장경

머리,눈,귀,인후,열성병,정신계통질환

군화

정금혈:소택

형수혈:전곡

유목혈:후계

경화혈:양곡

합토혈:소해

완골

지정

양노

간원

소장유

허즉보기모혈:유목혈?후계

실즉사기자혈:합토혈?소해

모경: 족소양경, 담목

자경: 족양명경, 위토

적경: 족태양경, 방광수

승경: 수양명경, 대장금

족태양방광경

배꼽,위,장,비뇨기,급생식기계질환

정금혈:지음

형수혈:통곡

유목혈:속골

경화혈:곤륜

합토혈:위중

경골

비양

금문

중극

방광유

골회: 대저

혈회: 격유

방광지하합혈: 위중

삼초지하합혈: 위양

양교맥지극혈: 부양

허즉보기모혈:정금혈?지음

실즉사기자혈:유목혈?속골

모경: 수양명경, 대장금

자경: 족소양경, 담목

적경: 족양명경, 위토

승경: 수태양경, 소장화

족소음신경

요복,생식,비뇨,인후,정신계통질환

정목혈:용천

형화혈:연곡

유토혈:태계

경금혈:복류

합수혈:음곡

태계

태종

수천

경문

신유

음유맥지극혈: 축빈

음교맥지극혈: 교신

허즉보기모혈:경금혈?복류

실즉사기자혈:정목혈?용천

모경: 수태음경, 폐금

자경: 족궐음경, 간목

적경: 족태음경, 비토

승경: 수소음경, 심화

수궐음심포경

흉부,혀,심장,정신계통질환

상화

정목혈:중충

형화혈:노궁

유토혈:태능

경금혈:간사

합수혈:곡택

태능

내관

극문

단중

궐음유

허즉보기모혈:정목혈?중충

실즉사기자혈:유토혈?태릉

모경: 족궐음경, 간목

자경: 족태음경, 비토

적경: 족소음경, 신수

승경: 수태음경, 폐금

수소양삼초경

머리,귀,눈,인후,협늑,열성질환

상화

정금혈:관충

형수혈:액문

유목혈:중저

경화혈:지구

합토혈:천정

양지

외관

회종

석문

삼초유

허즉보기모혈:유목혈?중저

실즉사기자혈:합토혈?천정

모경: 족소양경, 담목

자경: 족양명경, 위토

적경: 족태양경, 방광수

승경: 수양명경, 대장금

족소양담경

머리,코,눈,인후,흉협,열성질환

정금혈:규음

형수혈:협계

유목혈:임읍

경화혈:양보

합토혈:양능천

구허

광명

외구

일월

담유

수회: 현종

근회: 양능천

담경지하합혈: 양능천

신경지모혈: 경문

양유맥지극혈: 양교

허즉보기모혈:형수혈?협계

실즉사기자혈:경화혈?양보

모경: 족태양경, 방광수

자경: 수태양경, 소장화

적경: 수양명경, 대장금

승경: 족양명경, 위토

족궐음간경

비뇨,생식기 질환

정목혈:태돈

형화혈:행간

유토혈:태충

경금혈:중봉

합수혈:곡천

태충

여구

중도

기문

간유

비경지모혈: 장문

장회: 장문

허즉보기모혈:합수혈?곡천

실즉사기자혈:형화혈?행간

모경: 족소음경, 신수

자경: 수소음경, 심화

적경: 수태음경, 폐금

승경: 족태음경, 비토

임맥

음맥지해

통혈:열결

배꼽,생식기,비뇨기,소화도,인후,흉복,몸이 찬 경우

구미

기회: 단중

부회: 중완

심포지모혈: 단중

심지모혈: 거궐

위지모혈: 중완

삼초지모혈: 석문

소장지모혈: 관원

방광지모혈: 중극

독맥

양맥지해

급열성질환,폐,심,심포,간,담,비,위,척배,요퇴,신,방광,대장,소장

장강


* 혈위안진(穴位按診) : 경혈을 짚어 그 장부를 진찰하는 것. 압통 반응이 클수록 병이 위중함.


* 중요혈 : 오장육부병의 진찰 & 치료점

원혈 : 그 경맥의 으뜸혈. 급/만성, 허실증, 열/한증 어느 경우에나 그 경맥의 병에 항상 취혈

극혈 : 그 경맥의 급성병에 취혈

낙혈 : 그 경맥의 만성병에 취혈

모혈 : 그 경맥의 병을 진찰 & 치료점

유혈 : 그 경맥의 병을 진찰 & 치료점

- 허할 때, 그 경맥의 대표혈(예:토경인 비경의 유토혈인 태백, 금경인 폐경의 경금혈인 경거)을 보해도 된다.

- 음경맥의 원혈은 유토혈을 겸하고 있다.


* 오유혈五兪穴(오수혈五?穴) : 오장육부병의 치료점

오행혈 : 목 화 토 금 수 : 자모혈보사(오장육부병 치료)에 사용 (허즉 其母穴, 실즉 其子穴 취혈)

오수혈 : 정 형 유(수) 경 합 : 오장육부병 치료에만 사용

(井:구급혈, 滎:그 장부에 열이날 때, 兪:체중절통(體重節痛), 經:한증에, 合:역기이설(逆氣而泄) )


* 수십이정혈(手十二井穴) : 소상, 상양, 중충, 관충, 소충, 소태 -> 대용으로 손 끝 십선(十宣)을 따도 된다.


* 족십이정혈(足十二井穴) : -> 대용으로 발 끝 기단(氣端)을 따도 된다.


* 각 경맥이 흐르는 유주구역에 생기는 병(외경병), 각 경맥의 장/부의 병, 그 경맥의 장/부와 표리관계인 부/장의 병 치료에 그 경맥의 혈이 이용된다.


* 하합혈(양경맥(육부)에만 있는 진찰점 & 치료점

대장경지하합혈: 상거허

소장경지하합혈: 하거허

담경지하합혈: 양능천

방광경지하합혈: 위중

삼초경지하합혈: 위양

위경지하합혈: 족삼리


* 자모혈보사/자모경보사 - 오유혈에서. 오장은 오장끼리 자모경, 육부는 육부끼리 자모경 보사

- 자모혈보사의 예

비경(토)-실한 경우: 자혈인 금혈(상구)

-허한 경우: 모혈인 화혈(대도)

위경(토)-허한 경우: 모혈인 경화혈(해계)에 자침


- 자모경보사의 예

비경(토)-실한 경우: 자경맥인 폐경(금)의 경금혈(대표혈)인 경거

-허한 경우: 모경맥인 심경(화)의 형화혈(대표혈)인 소부

허증에는 모경의 혈, 실증에는 자경의 혈 (예)


* 변증시치(辨?施治) : 속된 말로 오행침. 오장육부병(내장병)에 유효. 즉, 사지통증(외경통)에는 무효.

- 치병팔증(治病八?) = 治病八要 = 治要八綱


양증

음증

실증(기능항진)

실맥(實):세고 굵게

자혈/자경맥의 대표혈

허증(기능저하)

허맥(虛):가늘고 약하게

모혈/모경맥의 대표혈

표증(급성병)

부맥(浮):살짝짚어도

중요혈의 극혈

리증(만성병)

취맥(?):깊이 눌러짚어야

중요혈의 낙혈

열증(체온상승)

삭맥(數):90이상/분

오수혈의 형혈

한증(체온저하)

지맥(遲):60이하/분

오수혈의 경혈


* 오장육부병에는 좌우 쌍혈을 다 쓴다.

외경병에는 아픈 쪽 혈에 자침하거나

반대 쪽 혈에 자침(거자법(巨刺法): 우병좌치, 좌병우치)


* 팔회혈(八會穴) : 361혈 중 어떤 병 치료에 회장 역할을 하는 여덟 혈

- 근회혈 : 양릉천 (신경에 생기는 병- 경련, 마비, 풍에)

- 수회혈 : 현종 (골수: 조혈기능에)

- 혈회혈 : 격유

- 골회혈 : 대저

- 맥회혈 : 태연

- 기회혈 : 단중

- 장회혈 : 장문 : 오장에 병 있을 때 반드시

- 부회혈 : 중완 : 육부에 병 있을 때 반드시

(예) 급성, 실증, 방광병 치료시의 오행침

부회혈인 중완에 자침(1), 방광의 모혈인 중극(1), 방광의 배수혈인 방광유(2), 방광의 하합혈인 위중(2), 방광의 극혈인 금문(2), 방광의 자혈인 속골(2) -> 10개 혈위에 자침한다.


* (기경)팔맥교회혈과 주치표

- 男左女右

- 아픈 쪽만 놓으면 됨. 거자법도 가능. 오장육부병은 양측 다 자침

주종(主從)

본경(本經)

팔혈(八穴)

통팔맥(通八脈)

주치(主治)

주(先刺)

족태음비경

공손

충맥

心, 胸, 胃 : 위통, 소화불량, 심장통, 심계항진

종(後刺)

수궐음심포경

내관

음유맥

수태양소장경

후계

독맥

목내자(目內?), 경항(頸項), 귀, 견박(견박), 뒷머리, 요배(腰背), 소장, 방광, 항통(옆목), 척추방측통, 요통, 요천통

족태양방광경

신맥

양교맥

족소양담경

족임읍

대맥

목외자(目外?), 이후(耳後) 즉 편두, 귀, 협늑, 협(頰 뺨), 경(頸 목), 견(肩 어깨), 편두통, 이명, 이통, 중이염, 옆 목, 어깨, 옆구리

수소양삼초경

외관

양유맥

수태음폐경

열결

임맥

폐계(肺系), 인후, 흉격, 목아플 때, 기침 감기, 딸꾹질, 흉통

족소음신경

조해

음교맥


출처 : 크리스챤 건강카페
글쓴이 : 노 기쁨 전도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