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의 일생 - 약이 흡수되고 사용되고 배설되기까지
약이 가는 길 음식물이 가는 길
우리는 배탈이 났을 때만이 아니라 머리가 아프거나 심한 외상을 입거나, 심지어는 발에 생긴 무좀을 치료하기 위해서도 약을 입으로 먹는다. (물론 주사를 맞을 때도 있다. 이것은 나중에 이야기하도록 하자). 그래도 신기하게 약의 효과는 나타난다.
그러면 약이 어떻게 하여 그런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일까? 약이 어떤 과정을 거쳐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아는 것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그것을 전문 용어로 '작용기전'이라고 하는데, 사실 아직까지도 그러한 작용기전이 완전히 해명되지 못한 채, 다만 경험적으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용되는 약도 적지 않다.
여기서는 약이 어떤 과정을 통하여 대사되고 배설되는지 등에 대해서(그러한 과정들을 통틀어 '약의 일생'이라 할 수 있다), 즉 약의 효력이 어떻게 시작하여 어떻게 끝나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그리고 그러한 가운데 약의 기전에 대해서도 약간의 지식을 갖게 될 것이다.
약이 우리 몸에 들어가서 '어떤 경로로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게 되고, 어떻게 빠져 나오게 되는가'를 알아보기 전에 먼저 약이 우리 몸에 들어가게 되는 형태를 알아보자,
#1 입으로 먹는다(소화기 계통에 투여).
우리가 가장 흔히 사용하는 약의 형태는 소화관에 약을 투여하는 방법인데, 그 중에서도 경구 투여(내복약)가 가장 많고, 그 밖에 설하 투여(혀 밑의 점막으로 통해 약물 흡수), 직장내 투여(좌약이나 관장으로 점막 흡수) 등이 있다.
#2 주사약으로 투여한다.
주사약으로 투여할 때는 근육 주사(엉덩이 주사)가 가장 많고, 피하 주사(인슐린 주사나 호르몬 주사 등), 정맥내 주사 (링게르액 주사, 영양수액 주사 등)등도 많이 이용되며, 그 밖에 동맥내 주사, 뇌척수강내 주사, 복강내 주사, 관절내 주사, 피내 주사, 심장내 주사 등이 있다.
#3 바른다.
또한 외용 연고, 소독약, 질좌약과 같이 아픈 부위에 외용적으로만 사용하는 예도 많다.
우선 약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내복약이기 때문에 그것을 중심으로 살펴 나가기로 하자.
(주사약은 약간씩 과정이 다르지만 결국은 같은 사이클에 합류한다.)
우리가 어떠한 약을 먹었을 때 그 약이 자신의 임무를 완수할 곳을 찾아가는 길은 다름 아닌 혈관이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음식을 먹었을 때 그 음식이 소화되어서 영양분으로 바뀌고 그 영양분이 필요한 곳으로 보내지는 길 역시 혈관이다.
음식물이 소장의 모세혈관을 통해서 흡수되듯이 약도 소장에서 비로소 혈관 속으로 들어간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혈관에 들어갔다고 해서 바로 혈관을 타고 필요한 곳으로 보내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심장을 거쳐 동맥을 타고 온몸으로 퍼지기 전에 약은 간을 거쳐야 한다.
해독 작용을 하는 간에 이르면 약으로서는 여러 가지 복잡한 상황을 만나게 된다. 우선 간은, 약이 우리 몸을 위해 온 손님이지만 약을 손님으로 대접하지 않고 다른 물질로 간주한다. 우리가 항상 먹는 음식과 비슷한 영양제라면 모르지만 항생제나 기타 화학 물질로 만들어진 약은 여기서 독물로 간주된다. 간은 니코틴이나 알코올을 분해하듯이 여러 종류의 효소를 동원하여 약을 여러 가지 다른 물질로 변화시키려고 한다. 이것을 대사 작용이라 한다.
이러는 과정에서 각종 중간 대사 물질이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 중간 대사 물질 중에는 간의 조직을 파괴하고 암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도 있다. 여기서 약은 일단 간에 부담을 주고, 나아가 몸에 치명적인 독물로 작용하기도 하는 셈이다. 물론 여기에서 다 분 해(대사)되어 버리면 약의 효과가 없기 때문에 제약회사에서 약을 만들 때 나름대로의 장치를 하여 약효가 나도록 만들기는 하지만 입으로 먹는 약은 거의 대부분이 간에서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먹는 약일 경우 주사약보다 2배 가량 많은 양을 사용하는 이유는 간에서 약이 대사될 것을 예상해서이다. 주사약의 경우에는 약효를 발휘하기 전에 간을 거치지 않는다. 그래서 주사약은 약효가 빨리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약효의 지속성을 생각한다면 먹는 약이 주사약보다 유리하다.
'흡수 과정'이라고 표현되는 이런 과정을 통해 미처 다 처리되지 못한 약이 심장을 거쳐 온몸을 돌게 되는 것이다.
약은 자기가 찾아갈 곳을 알고 있다
약은 이런 과정을 거친 후 동맥을 타고 온몸을 돌게 된다. 가야 할 곳을 찾아가서 약효를 발휘하기까지는 일단 온몸을 돌게 되는 것이다. 그것은 마치 물이 담긴 컵에 잉크를 한두 방을 떨어뜨리면 컵 전체가 파랗게 물드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약이 이렇게 온몸을 돌지만 꼭 필요한 곳에서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은 우리 몸의 요구와 약이 만들어지는 방법에 그 비밀이 있다. 약이 혈관을 통해서 돌다가 필요한 곳에서 약효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약물 분자와 수용체의 결합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약물 분자와 수용체는 마치 자물쇠와 열쇠 같은 관계여서 우리가 약물을 사용하면 꼭 필요한 부분에 가서 약효를 나타내게 된다.
모든 약물은 특별한 선택성을 갖도록 만들기 때문에 특정 수용체와만 결합하고 다른 수용체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또한 수용체 역시 특이성이 있어서 특정 약물과만 결합한다. 예를 들면 '디기탈리스' 라는 심장약은 내복약이나 주사약 등 어떤 형태로 투여하더라도 심 근의 수용체에만 결합하여 심장을 강하게 수축시킨다.
약은 무효화된다
우리 몸에서 질병을 이기기 위하여 작용하는 모든 약물은 우리 몸의 관점으로 보면 그 역시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이다. 따라서 술이나 담배 또는 소량의 독성 물질이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해독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약도 그 효과가 점차 없어지게 된다. 즉 체내에서 화학적 변화가 이루어져 불활성화되거나 체외로 배설됨으로써 약물의 작용이 없어지는 운명에 처하게 진다. 우리가 질병이 다 나을 때까지 시간 맞춰서 꼬박꼬박 약을 투여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약을 일정한 시간마다 복용함으로써 (또는 주사를 맞음으로써) 약이 일정한 농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 몸에 들어와서 혈관을 따라 돌다가 필요 부위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치료'라는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한 약물은 체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대사 과정)를 거치고 무효화되어 소변이나 대변으로 배설된다. 이러한 작용은 생체의 '생리적 방어기전'의 한 종류로 해독 작용이라고도 한다. 만약에 이러한 작용이 없다면 아마 우리의 몸은 약 창고가 되어 버릴 것이다.
약이 본격적으로 약효를 발휘하기 전에 간에서 대사가 일어난다는 점은 앞에서 말한 대로이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약물 대사기능은 동물의 진화에 따라 발전되어 왔다는 것이다. 즉 어류보다는 조류나 포유류로 올수록 각종 대사기능이 발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같은 종류의 동물에서도 약물 대사에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는 특수약물 대사효소가 유전적으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인간의 경우에도 같은 약이라도 백인종, 흑인종, 황인종에 따라 효과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대체로 보자면 황인종이 백인종보다 약물 대사 속도가 느리다. 약물 대사 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약이 체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황인종인 우리 나라사람들이 서양사람 체질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약을 그들에게 부작용이 없다고 해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는 없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남성보다는 여성이, 성인보다는 노인과 어린이의 약물 대사 속도가 늦고 또한 약하다는 사실도 약을 사용하는 데 중요한 특성이다. 또한 약물을 많이 사용 한 사람일수록 대사 속도가 빠르다. 그것은 너무 자주 너무 많이 복용하다 보면 어느새 그 약물을 무효화시키는 몸의 기능이 발달해서 약효가 빨리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임무를 마친 약은 배설된다
모든 약은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한 후에 우리 몸 밖으로 배설된다. 대부분의 약물과 약물의 대사 산물은 주로 신장(소변)을 통해 배설되고, 그 다음으로는 대변. 호흡을 통해 배설되며, 소량은 땀, 젖, 침 눈물을 통해 배설되기도 한다. 그러면 여러 배설 경로 중 가장 중심적인 것을 알아보기로 하자.
#1 신장에서 걸려져 오줌으로 배설된다
우리가 비타민제를 먹고 난 뒤에 소변을 보면, 소변 색깔이 노랗고 약 냄새가 나는 것을 흔히 경험하는데, 이것은 바로 비타민이 신장을 통해 배설되었다는 증거이다. 이것은 다른 모든 약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잘 알다시피 신장은 혈액내에서 적혈구나 백혈구, 혈소판보다 작은 혈장에 포함된 모든 내용물을 밖으로 밀어내는 '사구체'와 이렇게 사구체 밖으로 빠져 나온 작은 내용물 중에서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분이나 전해질 그리고 물을 다시 흡수하는 '세뇨관'으로 이루어 져 있다.
우리 몸의 신장에서 사구체를 통하여 내보내는(이것을 여과라고 부른다) 혈장의 양은 하루에 180리터지만, 그 대부분이 세뇨관에서 다시 흡수되어, 정작 소변으로 배출되는 양은 하루에 1.5리터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약물 분자는 사구체 막의 체구멍보다 작기 때문에 사구체를 쉽게 통과하여 세뇨관으로 나가 소변과 함께 배설된다.
그런데 이러한 신장의 중요한 배설지능이 때로는 약물의 독성으로 인해 중대한 위기에 처하기도 한다. 소변에 녹은 약이 몸 밖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리는 동안에 그 소변을 담고 있는 세뇨관이나 방광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주로 얼굴이나 몸이 붓는다). 약 설명서에는 빨간 글씨로 '주의 -부작용' 이라고 경고하는 내용이 들어 있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신장에 대한 언급이 굉장히 많다. 이 런 신장에 대한 부작용은 바로 배설 과정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2 소화기 계통을 따라가 대변과 함께 배설된다
우리가 먹은 약물이 완전히 흡수되지 않을 경우 그 약물은 대변으로 배설된다. 어떤 알약은 완전히 녹지 않은 상태 그대로 대변으로 나오기도 하는데, 그 약은 효과가 전혀 없었던 셈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약물은 일단 흡수된 후 간장에서 대사된 다음, 담즙에 섞여 다시 장으로 배설되고 그 일부가 대변으로 배설되는 경로를 밟게 된다. 어떤 약물은 이러한 배설 경로를 이용하여 장내의 병원균을 죽이는 데 이용되기도 한다.
한편 담즙에 섞여 배설된 약물은 대부분 소장에서 재흡수되어 신장으로 가서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대변 배설의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다.
#3 호흡을 통해 배설된다
가스 상태의 약물이나 휘발성 약물은 호흡기 계통을 통하여 흡입되고 또 배설도 당연히 호흡기를 통하여 이루어지지만, 다른 방법으로 우리 몸에 들어온 약물 중에도 휘발성인 것은 일부 호흡기로 배출되기도 하는데, 알코올이나 파라알데하이드 등이 있다.
#4 젖, 땀, 침, 눈물, 기관지 분비선 등을 통해 배설된다
양은 적지만 젖 땀, 눈물, 침, 기관지 분비선 등을 통하여 배설되기도 한다. 이것은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일단 우리가 사용하는 약은 몸에 들어가면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몸의 모든 곳을 돌게 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들 중 젖을 통한 약물 배설은 비록 그 양은 적지만 젖먹이 어린이에게 예상치 않은 약리 작용이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머니가 변비 치료제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 그 어머니의 젖을 먹은 아이는 설사를 하게 된다.
이렇게 우리가 사용한 약은 장을 통해 흡수되고, 수용체와 결합하여 효과를 나타내고, 대사 작용으로 무효화된 후 배설됨으로써, 약의 일생은 그 막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자료 = 약이 되는 약 이야기
'의 학 상 식 (암,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하루에서 수시로 변하는 혈압 -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 (0) | 2016.06.09 |
---|---|
[스크랩] ◆ 혈압이 높아지는 것은 세동맥이 좁아지기 때문 (0) | 2016.06.09 |
[스크랩] 혈압약을 오랫동안 먹을 수록 중풍, 심장병, 신장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0) | 2016.05.09 |
[스크랩] 혈압약을 먹어서라도 혈압을 낮추어야 하는 이유 (0) | 2016.04.22 |
[스크랩] 하루에서 수시로 변하는 혈압 -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 (0) | 2016.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