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엊저녁 갑자기 회원님으로부터 야간 난방 중 냉온수 헤더에 연결된 팽창탱크의 공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 운전되고 있으며 연결 고압호스가 과열되고 배관내의
압력이 급속히 상승된다는 전화를 받고 응급처치방법을 알려 주었습니다만 밀폐 용기
내부를 직접확인하지 못한 경우 그 조급한 마음은 충분히 이해되리라 봅니다.
냉온수배관 등에 사용하는 공기압축식 밀폐형 팽창탱크의 블래더(Bladder)가 간혹
파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밀폐용기 내부에 있는 블래더의 파손 유무를 확인한다는 것이 그리 쉽지만은
않고 자주 발생하는 현상도 아니여서 갑작스럽게 일어날 경우 당황하기도 합니다.
블래더의 파손 원인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① 급격한 압력변동으로 인한 팽창, 수축
② 블래더의 노후 ③ 압축기의 고장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블래더가 파손하게 되면 배관내 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수축을 흡수하여 주지
못하므로 특히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급격한 압력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여 심한 경우
배관, 펌프 등의 파손을 동반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물의 온도상승에 따른 체적 변화는 온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약 2~4.3% 일어납니다.
블래더가 파손되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배관내 압력 상승, 공기압축기의
기동이 정지되지 않는 등의 징후가 외부적으로 확인되며 특히 ① 배관내의 온도가 상승
하는 경우에는 ☞ 물의 체적 팽창으로 인하여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아지는데 이때에
는 전자밸브가 개방되어 탱크 내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며 공기와
함께 물이 배출되게 됩니다.
② 배관계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은 경우에는 ☞ 공기압축기가 가동되어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정지하게 되는데 블래더가 파손된 경우 파열 부위로 공기가 배관계
내부로 유입되어 정지하지 못하고 연속적으로 가동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공기의 마찰열로 인하여 연결 고압호스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가동을
중지하고 정확한 원인을 찾아보아야 합니다.
이외에도 여러 원인과 징후가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며 공기
압축식 밀폐형 팽창탱크의 구조를 이해한다면 블래더의 파손 유무는 충분히 알 수
있다고 봅니다.
아울러 공기압축식 밀폐형 팽창탱크의 내부 구조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밀폐 용기의 특성상 내부를 확인할 수 없고 또 자주 발생되는 현상이 아니다보니 분해
를 직접하지 못하는 이유에서 나타날 수 있는 착각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블래더 내부는 배관내의 물이 관통되어 있으며 블래더 외부와 탱크사이
에 압축공기가 충진되어 있어 팽창, 수축을 흡수하게 되어있습니다.
엊저녁 갑자기 회원님으로부터 야간 난방 중 냉온수 헤더에 연결된 팽창탱크의 공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 운전되고 있으며 연결 고압호스가 과열되고 배관내의
압력이 급속히 상승된다는 전화를 받고 응급처치방법을 알려 주었습니다만 밀폐 용기
내부를 직접확인하지 못한 경우 그 조급한 마음은 충분히 이해되리라 봅니다.
냉온수배관 등에 사용하는 공기압축식 밀폐형 팽창탱크의 블래더(Bladder)가 간혹
파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밀폐용기 내부에 있는 블래더의 파손 유무를 확인한다는 것이 그리 쉽지만은
않고 자주 발생하는 현상도 아니여서 갑작스럽게 일어날 경우 당황하기도 합니다.
블래더의 파손 원인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① 급격한 압력변동으로 인한 팽창, 수축
② 블래더의 노후 ③ 압축기의 고장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블래더가 파손하게 되면 배관내 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수축을 흡수하여 주지
못하므로 특히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급격한 압력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여 심한 경우
배관, 펌프 등의 파손을 동반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물의 온도상승에 따른 체적 변화는 온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약 2~4.3% 일어납니다.
블래더가 파손되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배관내 압력 상승, 공기압축기의
기동이 정지되지 않는 등의 징후가 외부적으로 확인되며 특히 ① 배관내의 온도가 상승
하는 경우에는 ☞ 물의 체적 팽창으로 인하여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아지는데 이때에
는 전자밸브가 개방되어 탱크 내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며 공기와
함께 물이 배출되게 됩니다.
② 배관계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은 경우에는 ☞ 공기압축기가 가동되어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정지하게 되는데 블래더가 파손된 경우 파열 부위로 공기가 배관계
내부로 유입되어 정지하지 못하고 연속적으로 가동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공기의 마찰열로 인하여 연결 고압호스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가동을
중지하고 정확한 원인을 찾아보아야 합니다.
이외에도 여러 원인과 징후가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며 공기
압축식 밀폐형 팽창탱크의 구조를 이해한다면 블래더의 파손 유무는 충분히 알 수
있다고 봅니다.
아울러 공기압축식 밀폐형 팽창탱크의 내부 구조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밀폐 용기의 특성상 내부를 확인할 수 없고 또 자주 발생되는 현상이 아니다보니 분해
를 직접하지 못하는 이유에서 나타날 수 있는 착각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블래더 내부는 배관내의 물이 관통되어 있으며 블래더 외부와 탱크사이
에 압축공기가 충진되어 있어 팽창, 수축을 흡수하게 되어있습니다.
출처 : 화/력/지/원/의/건/축/기/계/설/비/클리닉
글쓴이 : 화력지원 원글보기
메모 :
'기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1) 증기배관으로서의 스테인레스(STS)강관 사용여부 (0) | 2010.01.29 |
---|---|
[스크랩] (21) 증기배관으로서의 스테인레스(STS)강관 사용여부 (0) | 2010.01.29 |
[스크랩] (36) 경수연화장치의 관리 (0) | 2010.01.29 |
[스크랩] 보일러 종류별 비교설명 자료 (0) | 2010.01.25 |
[스크랩] 스파이렉스사코(spiraxsarco) 증기 자료집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