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배관용 탄소강관을 사용하고 있는데 특히 증기를 사용하다 보면 녹물이 발
생되어 낭패를 간혹 격는다 하시면서 건물 냉,난방설비는 동절기에만 사용하여 더더욱
그 부식성 녹물이 심하다는 내용이 였습니다.
그래서 건물 규모가 크지 않고 배관길이가 짧은 경우 스테인레스강관을 사용하여 이런
피해을 예방하려 하는데 어떤 견해가 있는가로 질문의 요지를 요약하였습니다.
※ 증기배관으로서의 스테인레스강관의 적정성 여부
STS(옛날표현 SUS)의 온도에 대한 성질은 STS304를 기준으로 인장강도 53kg/㎟, 허
용응력 13.2kg/㎟로서 강관배관에 비해서 허용응력이 월등히 높습니다.
그러나 안전사용온도를 살펴보면 -196℃에서 부터 +40℃까지는 허용응력이 변하지 않
다가 75℃에서는 11.8kg/㎟, 150℃에서는 9.9kg/㎟로 떨어지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허
용응력값은 급속히 내려갑니다.
허용응력값이 내려간다는 것은 재료의 버팀력이 낮아진다는 이야기 입니다.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은 저온에서는 강하지만 고온에서는 점차 약해지는 것을 허용
응력값으로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기의 배관이나 보일러의 연관에는 STS계열의 재질을 사용할수 없습니다.
특히 스테인레스계를 사용시에는 용접부나 곡관부위에서 크랙이 많이 발생합니다.
하여,
증기배관으로 사용시에는 반드시 압력배관용 탄소강관(SPPS)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
하며 그 이유는 SPPS계열의 배관은 350℃까지는 허용응력이 변함이 없고 용접성이 좋
기 때문입니다.
간혹 부식관계로 우리 열관리사님들께서 스팀헤더 및 일부 시설에 스테인레스를 요구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고온용인 STS 329 J1 TP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
다.
이 재질은 일반 STS보다 Cr의 함량을 높이고 Ni의 함량을 줄여 고온에 견디도록 합금
된 재질입니다.
생되어 낭패를 간혹 격는다 하시면서 건물 냉,난방설비는 동절기에만 사용하여 더더욱
그 부식성 녹물이 심하다는 내용이 였습니다.
그래서 건물 규모가 크지 않고 배관길이가 짧은 경우 스테인레스강관을 사용하여 이런
피해을 예방하려 하는데 어떤 견해가 있는가로 질문의 요지를 요약하였습니다.
※ 증기배관으로서의 스테인레스강관의 적정성 여부
STS(옛날표현 SUS)의 온도에 대한 성질은 STS304를 기준으로 인장강도 53kg/㎟, 허
용응력 13.2kg/㎟로서 강관배관에 비해서 허용응력이 월등히 높습니다.
그러나 안전사용온도를 살펴보면 -196℃에서 부터 +40℃까지는 허용응력이 변하지 않
다가 75℃에서는 11.8kg/㎟, 150℃에서는 9.9kg/㎟로 떨어지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허
용응력값은 급속히 내려갑니다.
허용응력값이 내려간다는 것은 재료의 버팀력이 낮아진다는 이야기 입니다.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은 저온에서는 강하지만 고온에서는 점차 약해지는 것을 허용
응력값으로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기의 배관이나 보일러의 연관에는 STS계열의 재질을 사용할수 없습니다.
특히 스테인레스계를 사용시에는 용접부나 곡관부위에서 크랙이 많이 발생합니다.
하여,
증기배관으로 사용시에는 반드시 압력배관용 탄소강관(SPPS)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
하며 그 이유는 SPPS계열의 배관은 350℃까지는 허용응력이 변함이 없고 용접성이 좋
기 때문입니다.
간혹 부식관계로 우리 열관리사님들께서 스팀헤더 및 일부 시설에 스테인레스를 요구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고온용인 STS 329 J1 TP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
다.
이 재질은 일반 STS보다 Cr의 함량을 높이고 Ni의 함량을 줄여 고온에 견디도록 합금
된 재질입니다.
출처 : 화/력/지/원/의/건/축/기/계/설/비/클리닉
글쓴이 : 화력지원 원글보기
메모 :
'기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9) 응축수, 응축수탱크에 관하여 (0) | 2010.01.29 |
---|---|
[스크랩] (21) 증기배관으로서의 스테인레스(STS)강관 사용여부 (0) | 2010.01.29 |
[스크랩] (30) 공기압축식 밀폐형 팽창탱크의 블래드 파손 확인 (0) | 2010.01.29 |
[스크랩] (36) 경수연화장치의 관리 (0) | 2010.01.29 |
[스크랩] 보일러 종류별 비교설명 자료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