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술 자 료.....

[스크랩] (2)보일러의 적정한 운전압력이란...?

양사랑 2010. 1. 29. 13:37

처음 보일러 관리에 입문하는 초보 회원님들께서 가장 많이 물어보는 질문중의 하나가
보일러의 운전압력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운전압력이 얼마면 적정한가는 부하측 사용설비의 요구압
력, 배관길이, 보온상태, 증기의 비체적 등을 고려하여야만 결정되어질 수 있는 문제입
니다.
증기가 배관을 따라 공급되면서 배관의 저항에 의해 압력 손실이 발생하고 또한 배관에
서 방열 손실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초기에 분배용 공급압력을 정할 때에는 이 압력 손실을 고려하여 여유분을 추
가한 높은 압력으로 공급해야 합니다.
① 이것을 요약하면 운전압력을 결정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증기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압력
2. 배관 마찰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
3. 배관에서 방열 손실
② 높은 압력의 증기는 낮은 압력의 증기에 비해 비체적이 적으므로 높은 압력으로 증
기를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1. 증기배관 구경이 작아져 증기주관의 설치비 즉 파이프, 플랜지, 지지대와 인건비 등
이 감소..
2. 배관 보온을 위한 투자비용이 절감..
3. 감압을 하여 사용하게 되는 증기 사용처에서는 감압의 효과에 따른 보다 건조한 증
기를 사용할 수 있음.
4. 보일러의 열 보유 능력도 증가하여 부하의 변동에 대한 대처도 용이하며 피크부하
시 프라이밍과 캐리오버의 위험도를 줄여 줄 수 있음.
증기를 높은 압력으로 분배하면 시스템이 증기 사용처에서 각각의 응용별 또는 구역별
로 요구하는 압력으로 감압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③ 보일러의 운전압력 셋팅은 얼마가 좋을까?
셋팅압력 조정에서 문제되는 것은 보일러의 정지압력은 그다지 큰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최고사용압력이하의 안전사용 압력으로 운전하면 되지만 그보다는 보일러의 기
동압력이 보일러의 운전적정 압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그 이유는 "증기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적정한 압력의 증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느냐
의 문제"가 뒤 따르기 때문입니다.
보일러가 정지되었다 재 기동 압력에서도 충분히 공급량이 확보되는 점을 기동압력으
로 맞추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근본적 근거를 바탕으로 현장 여건에 알맞게 적용하여 보일러에 적정한 압력을 설
정하여야 합니다.
증기의 효율적인 사용에는 일차적으로 "공급압력은 높게, 사용처에서는 낮게" 라는 것
을 항상 기본개념으로 하여 증기를 공급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출처 : 화/력/지/원/의/건/축/기/계/설/비/클리닉
글쓴이 : 화력지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