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술 자 료.....

[스크랩] 난방비 절약하는 법

양사랑 2010. 2. 17. 14:14

난방비 절약하는 법

난방수 온도- 물의 온도에 따라 조절하시는 것입니다.(낮은 온도로 사용하시면 절약이 가능하겠죠?)  비권유

 

실내온도 - 실내의 온도에 따라 조절하시는 것입니다.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것이겠죠? 외풍이 심하거나 단열이 너무 잘되서 온도의 편차가 없으면 실내온도의 기능이 유명무실할수 있습니다.) 비권유

 

반복시간 - 표시된 숫자는 정지 시간을 말합니다. 1시간~ 4시간

귀하께서 반복시간을 누르시고 1에 맞추시면 20분을 먼저 가동하고 1시간을 정지합니다. 이렇게 계속 반복하게 되는 것이지요. 1에 맞추시고 방이 너무 뜨거우면 2에 맞춰 보세요. 2에 맞췄을 때 너무 차가우면 1과 2사이  놓으시면 되겠네요

 

제 경험상 난방수온도를 사용할때 70도는 되야지 방이 뜨겁게 올라옵니다.  뜨거우면 보일러를 끄겠죠? 올렷다 내렷다 수동조작을 해야 하니 귀찮고 뜨거워야 내리니 연료절약도 안되겠죠.

 

불경기에다 기름값마저 마구 치솟는 요즘, 난방비 고지서가 마음에 걸린다. 난방비를 아끼는 두 가지 원칙은 외부 공기를 차단하고 보일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 조금만 신경 써도 한 달 난방비를 3만원은 줄일 수 있다.

case 1_중앙 난방식 아파트
중앙에서 한꺼번에 난방을 하기 때문에 난방이 들어올 때는 집안이 후끈후끈하지만 난방이 꺼지면 금세 추운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가족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면 달마다 일정액을 내야 하는 난방비가 아까운 느낌이 들 수도 있다. 주로 지은 지 오래된 아파트들이 중앙 난방 방식을 채택한다.

how to
● 난방으로 얻은 열기를 최대한 오래 저장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바닥에 카펫, 러그를 깔고 창에는 커튼을 달며, 침실에도 요를 하나쯤 깔아두는 것이 좋다.
● 중앙 난방식 아파트는 지은 지 오래된 경우가 많아 곳곳에 틈새가 있다. 베란다 벽과 새시 사이, 창문과 안테나선 사이 등의 틈새를 실리콘으로 막아준다.
●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 보일러가 노후해서 열효율이 떨어져 난방비가 증가할 수 있다. 반상회 등을 통해 오래된 보일러를 새것으로 교체해달라고 요구하는 것도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
case 2_개별 난방식 아파트
원하는 시각에 보일러를 끄고 켤 수 있는데다 방마다 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융통성 있게 난방할 수 있다. 하지만 신경 쓰지 않고 보일러를 마구 돌린다면 중앙 난방식보다 오히려 난방비가 많이 나올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how to
● 난방을 보일러에만 의존하지 말고 보조 난방 기구를 활용한다. 이때 에너지 효율이 1등급에 가까운 것을 고르는 것이 절전 효과가 크며, 의외로 전력 소모가 심하므로 꼭 필요할 때만 사용해야 한다.
● 밤에만 난방을 넣고, 아주 추운 날이 아니면 낮에는 집 전체에 난방을 넣지 않는다. 겨울철 적정 난방 온도는 18~20도 정도인데, 실내 온도를 1도 높이면 한 달 난방비를 30만원으로 가정할 때 2만원이 추가로 올라간다.
● 비어 있는 방의 난방 밸브는 아예 잠가두고, 난방을 하지 않는 방의 방문을 꼭 닫아둔다.
● 각 방별로 보일러를 제어하는 기능이 있다면 온도 설정을 각각 다르게 하는 것도 방법. 거실은 16~20도, 욕실은 18~20도, 공부방은 16~20도, 복도는 15도 정도가 적절한 온도.
case 3_낡은 단독 주택
단독 주택의 경우 아파트에 비해 바람 새는 곳이나 외풍이 심한 편. 때문에 난방을 해도 손발이 시린 경우가 많다.

how to
● 기름 보일러와 가스 보일러 모두 연소가 일어나면서 분진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보일러 내부에 누적되면 열의 전달이 나빠져 보일러 효율이 떨어진다. 본격적인 난방을 시작하기 전 등 적어도 일 년에 두 번 정도는 청소해주어야 한다.
● 가능한 한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열을 차단한다. 환기하는 창문을 제외하고 창문 밖을 비닐로 덮고 테이프로 붙이는 것도 좋은 방법.
● 외풍이 너무 세다면 아예 단열 시공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다. 단열 시공을 하면 50% 정도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으며 국민은행, 농협 등에서는 연리 3.5%의 이율로 주택 단열 개수 사업에 대해 자금 융자를 하고 있다. 단 한 주택당 1500만원 이내.
● 심야 전력 요금은 일반 전력의 1/4밖에 되지 않는데, 밤 10시부터 다음날 아침 8시까지 온수를 만들거나 열을 저장할 수 있는 전기 보일러를 설치하면 난방비 걱정에서 해방될 수 있다.
● 보일러를 껐다 켰다 하는 것이 그냥 낮은 온도로 유지하는 것보다 기름이 더 많이 든다. 낮에나 외출할 때에도 완전히 끄지 말고, 온도를 낮춰두는 것이 효율적이다.
네티즌들이 말하는 난방비 아끼기 기발한 방법
● 보일러를 틀지 않는 대신 허리 아플 때 쓰는 고무찜질 팩에 뜨거운 물을 채워 넣고 자기 30분 전에 침대 가운데 놓는다. 그 다음 이불을 덮어두면 따뜻한데, 심지어 새벽까지 열이 지속된다.(kgs8012)
● 샤워할 때 목욕 버튼을 누르고 5분이 지난 다음에 끈다. 그러고 나서 재빨리 샤워를 하면 보일러를 꺼도 데워진 물이 있기 때문에 한동안은 더운 물이 나온다. 물론 샤워가 다 끝난 후에는 점점 미지근한 물이 나오니까 이를 닦거나 세수할 때 쓴다.(리치리치)
● 24평 아파트에 사는데 저녁 7~8시쯤 보일러를 켰다가 한 시간 뒤에 끄고 그대로 잠을 잔다. 아파트라 그런지 새벽까지 따뜻함이 유지되는 편. 거실에만 보일러를 틀고 겨울철에는 거실 바닥에서 잔다.(까만설탕)
● 12년 정도 쓰던 보일러를 새것으로 교체했는데, 이전에는 난방비가 8만원 이상이 나왔었는데 지금은 월 3만원 정도만 나온다. 큰돈 들여 제품을 바꾸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절약되는 것 같다. (Aurora)
난방비 절약하는 미니 난방기 리스트
온풍기 필터를 통해 뜨거운 바람을 공기 중으로 내뿜어 실내를 데우는 난방 기구. 난방 효과가 크고 안전한 편이지만, 공기 중으로 뜨거운 바람을 계속 내뿜기 때문에 공기가 건조하고 답답해질 수 있다. 감기에 걸리기 쉬운 아이나 노인이 있는 집에 사용하면 좋다.  

1 PTC 스탠드 히터_신일엔터프라이즈 제품으로 열효율이 높으며 일반풍, 약풍, 강온풍의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품이 넘어졌을 때 자동으로 꺼지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최대 7시간 30분까지 예약 가능. SK디투디에서 판매. 5만3000원

전기 히터 전기로 히터 몸체에 있는 바(bar)에 열을 가하면 바가 달아오르면서 실내를 데워주는 원리. 다른 난방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히터 자체에서 나오는 열로 주위를 데우기 때문에 작은 면적을 급속히 데우는 데 좋다. 하지만 데워져 있는 열판에 손을 댔다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다른 난방 기구에 비해 전력 소모량이 많은 편.

2 참숯 원적외선 3단 할로겐 히터 _유니맥스 제품으로 약, 중, 강의 3단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할로겐을 장착시켜 적외선을 방출한다. 벌집 무늬형 반사판을 이용하여 열을 멀리까지 보낼 수 있으며 화재 방지용 안전 전도 스위치가 달려 있다. 우리 홈쇼핑에서 판매. 4만1000원

팬히터 전기 팬히터는 전기 열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송풍날개를 통해 공기 중으로 내보내는 난방 기구이다. 쉽게 헤어 드라이어를 생각하면 된다. 전기 히터에 비해 난방 가능 면적이 넓고 안전한 편. 단 전기 히터처럼 바로 앞에서 확실히 열기를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온풍기처럼 바람이 멀리 퍼지지도 않는다.

3 미니 팬히터 _유니맥스의 미니 팬히터는 900W, 1800W 2단계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소음이 적고 강력 팬 모터가 장착되어 있다. 자동 온도 조절 레버가 달려 있어 온도 조절을 하지 않아도 되고, 작고 가벼워 이동이 편리하다. 우리 홈쇼핑에서 판매. 2만4500원 curtain커튼은 틈새 바람을 막고 방 안의 온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다. 두꺼운 커튼 하나보다는 이중 커튼이 더 좋다.

window창을 단열하는 비닐 제품을 사용하면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lamp조명 기기에 반사 갓을 달 경우 최고 35% 정도의 절전 효과가 있다. 겨울철 조명은 노랗거나 오렌지빛이 도는 것을 사용하면 훨씬 따뜻해 보인다.window frame열의 출입이 가장 심한 곳이 창이기 때문에 이중창을 설치하거나 문틈에 문풍지를 붙여 틈새 바람을 막는다.
heater무작정 보일러를 켜지 말고 보조 난방 기구를 적절히 이용한다. 보조 난방 기구는 찬 공기가 들어오는 쪽에 창을 등지고 두어야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다.carpet&rug바닥에 러그나 카펫을 깔면 맨바닥보다 훨씬 따뜻한 느낌이 든다. 아주 춥다면 아예 얇은 이불을 두 장 정도 까는 것도 방법.
wallpaper집안 분위기를 가능한 한 따뜻한 난색 계열로 바꾸어본다. 커튼이나 패브릭, 러그를 이용해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cardigan집안에서도 카디건 하나 정도는 늘 껴입고 생활한다. 얇은 옷을 여러 벌 껴입으면 티셔츠 한 장만 입는 것에 비해 난방 온도를 2~3도 정도 낮추어도 지낼 만하다고 느끼게 된다.knee cover무릎 덮개 하나쯤 소파 주변에 두면 의외로 따뜻하게 쓸 수 있다.slipper실내화를 신으면 바닥이 차갑게 느껴지지 않아 쓸데없이 난방을 하는 일이 줄어든다. 발은 우리 몸에서 열을 가장 쉽게 배출하는 기관이라 실내화를 신으면 체온을 빼앗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좋은 필름 닌방

좋은 필름은 유리의 기본기능 (넓은 시야확보, 높은 가시성,충분한 일조량 등) 을 유지하면서 단열,방범 등의 필름기능이 나타나야 합니다.
나쁜필름은 우선 유리의 기본기능을 저하시킨다.
어른어른한다는지 외부가 잘안보인다든지 또한 필름의 고유기능인 자외선차단,단열기능이 없어 필름자체가 노화되어 수개월 혹은 1-2년내에 변색및 경화현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안전 및 보안 필름은 너무나 소비자를 우롱할 정도로 거짓된 것이 많습니다.
시중에는 여러회사의 다양한 종류의 윈도우 필름이 있습니다. 각 사마다 자사의 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적합한 필름의 선택을 위해서 아래의 방법을 소개합니다.
 

1) MOCK - UP TEST
직접적인 실험방범이 가장 최선의 방법입니다. 특히 방범, 방탄 필름은 필름의 우수한 성능에 앞서 유리가 깨어지더라도 필름이 유리를 꽉 잡고 있도록 접착력이 강해야만 외부인의 2차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2) 각종 국내외 공인 기관의 인증서 및 실험 데이터 참고.

3) 국내외 대형 빌딩의 필름 시공사례 참고.
대형빌딩은 필름 시공시 반드시 Mock-up Test에 의한 필름 성능파악뿐만아니라 시공자의 시공능력, 시공 후 계속적인 A/S 등의 보증 능력을 종합적으로 파악한 후 시행합니다.

4) 감각에 의한 구별
좋은 필름은 유리의 기본기능(넓은 시야 확봐, 높은 가시성, 충분한 일조량 등)을 유지하면서 단열, 방범 등의 다른 기능이 나타냅니다.
나쁜 필름은 우선 유리의 기본 기능을 저하 시킨다. 어른어른 한다든지, 혹은 외부가 잘 안보입니다.
또한 필름의 고유기능인 자외선 차단, 단열 기능이 없고 필름이 쉽게 노화 됩니다.

5) 가장 쉬운 방범 필름 TEST 법
가장 쉽게 안전 및 보안필름을 검사하는 방법은 필름을 5cm정도 칼로 짜른 후 양손으로 잡아당겨보면 확인이 가능할 것 입니다.
좋은 안전 및 보안 필름은 잘 찟져지지 않고 나쁜것은 두께가 두꺼운 것이라도 종이처럼 찟겨질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색상이 있는 단열 필름과 달리 비산방지 필름 또는 방탄 필름으로 불리우는 제품의 경우 대부분 투명한 제품으로 그성능을 소비자가 직접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유리 파손시 유리 자체의 무게 또는 침입자의 무력으로 인해 필름이 찢길 수 있는 기능성을 미리 확인해 보는 방법으로 특별한 장비없이 간단히 실제 필름이 찢어지는 힘의 정도를 가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로 비산 방지 기능의 중요한 성능지수인ASTMD-2582-93(Propagation Tear Test)의 간이 실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유리를 필름에 붙치면 안깨진다?
일부 필름업체에서 강화 유리에 필름을 부착한 후 야구방망이, 망치 등으로 때리는 시험범으로 필름 때문에 유리가 안깨지는 것처럼 인식시킵니다. 그러나 이것은 유리자체가 강화유리이기 때문입니다.

2) 필름 색이 진할 수록 열차단이 많이 된다?
필름에는 사계절용 필름과 단열 필름이 있습니다. 사계절용 필름은 색상이 진한 것이 빛차단(가시광선)이 많이 될 뿐이지 열차단과는 다른 것입니다. 열차단은 단열 필름이나 Lew-E 필름이 있습니다. 가장 기술력이 필요한 필름은 색이 없으면서 단열효과가 있는 필름입니다. 그래서 이런 필름은 가격도 고가입니다.

3) 두꺼울수록 필름이 강하다?
방범필름 쪽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두꺼운 것이 좋다고 하겠지만, 필름이 두꺼워 질 수록 열파현상이 심해지고, 또한 시야에 많은 문제점이 생깁니다

http://heater.tistory.com/category/보일러
출처 : 다바
글쓴이 : 바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