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용어1
가감속전동기( adjustable speed) 가감속전동기(adjustable speed motor / 加減速 電動機)
노이즈시뮬레이터(noise simulator) 전선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흡수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말합니다. 종류로는 크게 능동필터와 수동필터로 구분됩니다.
보조접점 (Auxiliary Switch) 보조접점의 사용용도는 원방에서 차단기의 On-Off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속장치 입니다. 차단기가 설치되어있는 현장에서는 핸들의 위치에 따라 On-Off가 구분되지만, 원방에서 감시가 필요한 경우에 차단기 내부에 설치하게 됩니다.
경보접점 (Alarm Switch) 차단기의 경우 On-Trip-Off 3가지의 동작상태가 있는데, On은 전원이 통전중이고, Off 와 Trip은 전원이 차단된 상태입니다. 여기서 Off와 Trip의 차이점은 Off는 조작자가 인위적으로 전원 Off를 목적으로 차단기 핸들을 수동 또는 기타의 장치를 이용하여 Off한 상태입니다. Trip은 차단기 스스로 과부하 또는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Off한 상태입니다. 보조접점으로는 Trip상태 표기는 되지 않고 경보접점을 설치하여야 원방에서 차단기의 Trip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전압 트립 장치(Shunt trip device) 전압트립장치는 필요시 원방에서 차단기를 Trip 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속장치입니다. 차단기는 선로 이상 발생시 전로를 신속히 차단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항시 차단기가 제대로 동작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부족전압 트립장치 (UVT,Under Voltage trip) 주선로의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하위 부하에 설정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비록 순간적이라고 하여도 하위 부하 손상으로 확대될수 있는 회로에는 부족전압 트립장치를 설치하여 전압 강하시 차단기를 Trip시켜주는 부속장치입니다.
IEC규격 배선용차단기의 가장 일반적인 규격은 IEC규격과 UL규격입니다. UL규격 UL규격은 세계 최대 시장인 미주시장과 일부 남미 시장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규격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제품의 안전성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KS규격 KS규격은 국내 산업 전 분야의 제품 및 시험·제작 방법 등에 대하여 규정하는 국가 표준규격입니다. KS(Korean Standard)규격은 강제 규격은 아니지만, |
전기용어2
가변 인덕터 (Adjustable Inductor) 자기 인덕턴스 또는 상호 인덕턴스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인덕턴스
가변 저항기(Adjustable Resistor, Variable Resistor) 가변 저항기(Adjustable Resistor, Variable Resistor)
가변 콘덴서 (Adjustable Condenser, Variable Condenser) 가변 콘덴서 (Adjustable Condenser, Variable Condenser)
계전기 (Relay)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등의 전기신호를 비롯하여 온도, 빛 등 여러 가지 입력신호에 따라서 전기회로를 열거나 닫거나 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
고조파 (Harmonic Wave) 주기파 또는 주기 변화량에 있어서 기본파 주파수의 정배수 주파수를 가진 성분을 말함.
고주파 (High Frequency)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음.
공기 차단기 (Air-blast Circuit Breaker) 공기 차단기 (ACB:Air-blast Circuit Breaker)
과부하 (Over Load) 기기, 장치가 다룰 수 있는 정상적인 값을 넘은 부하. 과부하가 되면 신호처리회로의 신호는 일그러짐이 발생하고, 전력처리회로에서는 구성부품의 과열이 생김. 보통의 기기, 장치는 그 정격 부하용량을 넘어도 이상을 발생하는 일이 없이 운전할 수 있는 약간의 과부하 용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과전류 (Over Current) 규정값을 초과하는 이상 전류
과전압 (Over Voltage) 전기분해에서 수소나 산소를 발생하는데 백금, 흑 등의 전극을 사용할 때 평형 전위보다 어느 전압만큼 높게 하면 가스가 발생하는 이때의 전압을 과전압이라 함.
과전압 계전기 (Over Voltage Relay) 계전기에 주어지는 전압이 그 설정 값과 같든가 그보다 커지면 동작하는 계전기
교류 밸런서 (AC Balancer) 단상 2선식 배선에서 단상 3선식 배선을 얻기 위한 단권 변압기
권선형 회전자 (Wound Rotor) 회전자의 권선이 농형 권선과는 달리 고정자와 동극, 동상의 분포권선을 하고 그 단말은 슬립링을 통해 외부에 꺼내도록 한 유도 전동기
권선형 유도전동기 (Wound-rotor Induction Motor) 권선형 유도전동기 (Wound-rotor Induction Motor)
규소강판 (Silicon Steel Plate) 철(Fe)에 5% 이내의 규소(Si)를 가한 것을 압연한 철판으로 자기적 특성이 좋고 저항율도 높으므로 전력 기기 뿐만 아니라 전원 변압기, 계전기 등의 저주파용 자심으로써 널리 사용됨.
내부 전계 (Internal Field) 유전체에 외부 전계 E를 가했을 때 분자나 원자에 작용하는 전계 E'는 E보다 약간 커짐.
네온 변압기 (Neon Transformer) 네온관등 회로에 사용하는 자기 누설 변압기. 네온관은 길이 1m당 약 1,000V의 전압을 필요로 하므로 특별한 변압기를 필요함.
뇌격 (Lightning Stroke) 낙뇌를 말함.
뇌 서지 (Lightning Surge) 뇌에 의해서 송전선로에 생기는 이상전압. 직격 뇌 서지와 유도 뇌 서지가 있으며, 이 이상전압은 파고값이 매우 높고 송전선로의 경과지에 따라서는 발생빈도도 높으며 송전선로의 이상전압중 가장 무서운 것임.
누설 변압기 (Leakage Transformer) 누설 리액턴스를 매우 크게 한 변압기. 1차측의 전원전압이 일정하고 부하 임피던스가 변동해도 거의 일정한 2차 전류가 흐르도록 한 변압기임. 주로 네온관등, 방전등, 아크 용접기, 전자렌지 등에 사용. |
전기용어3
누설 전류 (Leakage Current) 절연되어 있는 장소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를 말하며, 정상상태에서는 매우 적으나, 절연물에 붙은 먼지나 습기 등 때문에 표면을 통해서 흐르는 성분과 절연물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이나 이온 등 때문에 내부를 통해서 흐르는 성분임.
누전 차단기 (Earth Leakage Breaker, Ground-fault ) 누전 차단기 (Earth Leakage Breaker, Ground-fault Circuit)
단권 변압기 (Auto Transformer) 하나의 권선을 1차와 2차로 공용하는 변압기. 공용권선이기 때문에 누설 자속이 적고 전압변동율이 작아서 효율도 좋으므로 전압조정용으로서 연속적으로 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접동식 전압 조정기 등에 널리 사용됨.
단상 변압기 (Single-phase Transformer) 배전변압기로 널리 쓰이며, 1~50kVA의 것까지 있으며, 주로 주상변압기로 사용됨.
단상 유도 전동기 (Single-phase Induction Motor) 단상 유도 전동기 (Single-phase Induction Motor)
대역 압축 (Band Compression) 신호에 포함되는 불요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전송에 필요한 채널 대역폭을 줄이는 것.
도전 전류 (Conduction Current) 외부 에너지의 기여에 의해 만들어진 전도 전자의 흐름에 의한 물체 내 전하의 연속적인 운동
도플러 효과 (Doppler Effect) 음원과 듣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접근하고 있을 때 음파는 높게 들리고, 멀어지고 있을 때는 낮게 들림. 이러한 현상을 도플러 효과라 함.
동기 임피던스 (Synchronous Impedance) 동기 리액턴스와 실효 저항과의 직렬 임피던스
동기 전동기 (Synchronous Motor) 교류 전동기의 일종으로 동기 발전기와 같은 구조의 것을 전동기로서 사용할 때 이것을 동기 전동기라 함. 동기 전동기는 여자의 변화에 의해 역률을 조정할 수 있고, 부하가 변해도 동기속도로 회전을 계속하고 효율이 좋으므로 대용량 전동기로서 사용됨.
동기 리액턴스 (Synchronous Reactance) 누설 리액턴스와 전기자 반작용 리액턴스가 합성된 리액턴스
루멘 (Lumen) 광속의 단위. 기호는 lm
리액터 (Reactor) 교류회로에서 큰 유도 리액턴스에 의해 무효전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나, 교류와 직류가 겹쳐진 회로에서 교류분에 대해서만 리액턴스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기.
리액터 시동 전동기 (Reactor Start Motor) 분상형의 단상 유도전동기에서 시동을 위해 리액터와 직렬로 접속된 주권선과 보조권선이 있고, 그 밖에는 외부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
리액턴스 (Reactance) 전기회로에서 직류전류를 방해하는 것은 저항뿐이지만 교류전류는 방해 및 양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저항 이외에 전류를 방해하는 저항성분이 있는데 이 저항 성분을 리액턴스라 함.
맥동 전동기 (Ripple Current Motor) 교류 전기철도방식에서 쓰이는 직류 전동기로,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직류에 의해서 동작하지만 정류변압기 1차측 전류의 일그러짐에 의한 통신선로로의 유도방해를 경감하기 위해 직류전류 중에 약간의 고조파분을 의도적으로 남긴 채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직류 직권 전동기
맥스웰 브리지 (Maxwell Bridge) 브리지에 인덕턴스를 포함한 것으로, 교류를 가하여 미지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브리지를 말함.
맥스웰의 전자방정식 (Maxwell's Electromagnetic Equation) 맥스웰의 전자방정식 (Maxwell's Electromagnetic Equation)
무정전 전원장치 (UPS) 사용 중인 전원설비에 고장 또는 정전이 되어도 전기기기에 무정전으로 전원을 계속 공급할 수 있는 설비 무효 전류 (Reactive Current) 전압과 직각 위상의 전류 성분
|
전기용어4
무효 전력 (Reactive Power) 리액턴스분을 포함하는 부하에 교류전압을 가했을 경우 어떤 일을 하지 않는 전기에너지가 전원과 부하 사이를 끊임없이 왕복하는데, 그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무효 전력임. 단위는 var 또는 kvar
배전반 (Switchboard, Switchgear) 송전계통과 전력기기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여 소내의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계기, 제어 스위치, 모의 모선, 표시등 등을 한 곳에 집중시킨 것. 용도에 따라 주배전반(감시반, 제어반) 보조 배전반, 소내 배전반등으로 나눔.
배전 변전소 (Distribution Substation) 수용단 가까이에 보내져 온 전력을 배전선로의 전압(3.3kV 또는 6.6kV)으로 변압하는 변전소
배전 변압기 (Distribution Transformer) 배전계통에 있어서 고압에서 저압으로 전압을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변압기
변압기 (Transformer) 하나의 회로에서 교류전력을 받아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지기
변전소 (Electric Power Substation) 전력의 집중, 분배, 변성 등을 하는 곳으로 구외에서 전송되어 오는 전력을 구내에 시설한 변압기, 회전기, 정류기 등에 의해 변성하고 이것을 구외로 전송하는 장소
보호 계전기 (Protective Relay) 발전기나 송전계통에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고를 검출하고 그 위치나 종류 등을 식별하여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장치. 동작기능에 따라 전류 계전기, 전압 계전기, 전력 계전기, 차동 계전기, 방향 계전기, 거리 계전기, 접지 계전기 등이 있음.
부하 용량 (Load Capacity) 전기기기의 온도 상승, 최대 토크, 정류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출력. 정격 출력 혹은 전 부하와 같은 의미임.
복권 발전기 (Compound Generator) 주자극의 계자 권선에 전기자 권선과 병렬로 분권 계자 권선과 직렬의 직권 계자 권선을 갖는 직류 발전기
복권 전동기 (Compound Motor) 주자극의 계자 권선에 전기자 권선과 병렬로 분권 계자 권선과 직렬의 직권 계자 권선을 갖는 직류 전동기
불평형 부하 (Unbalanced Load) 다상의 회로 각 상의 부하가 같지 않은 경우, 또 푸시풀 증폭기에서는 각 트랜지스터의 부하가 같지 않은 경우
불평형 전류 (Unbalanced Current) 전기적 평형계의 불평형시에 그 계의 전기회로에 흐르는 전류
불평형 회로 (Unbalanced Circuit) 대지에 대하여 각기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2점을 구성하는 회로
사이리스터 (Thyristor) pnpn접합의 4층 구조 반도체 소자의 총칭. 일반적으로는 SCR이라고 불리는 역저지 3단자 사이리스터를 가리키며,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를 말함.
사이리스터 인버터 (Thyristor Inverter) 사이리스터를 사용하여 직류에서 교류로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역변환 장치)
사이리스터 모터 (Thyristor Motor) 사이리스터를 위상 제어함으로써 직류전동기의 정류자 작용을 시켜 직류전원으로 동기 전동기를 운전하여 변속이나 역전제어를 하도록 한 전동기
상호 유도 (Mutual Induction) 2개의 전기회로가 접근하여 존재할 때 한쪽의 전류를 변화시키면 그에 따라서 만들어지는 자속이 변화하고 이 자속의 변화가 동시에 다른 쪽 회로에도 영향을 주어 거기에도 기전력이 유도됨. 이 현상을 상호유도라 하고,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생함.
상호 인덕턴스 (Mutual Inductance) 상호 유도 작용에서 1차측 전류의 시간 변동분과 2차측에 유도되는 전압의 비례계수. 단위는 H(헨리)
상호 임피던스(Mutual Impedance) 다단자 회로망의 한 쌍의 단자간 개방 전압과 다른 한 쌍의 단자에 흐르는 전류와의 비
서지 (Surge) 어느 시간만 급격히 가해지고 그 다음은 자연히 감쇠하는 전압이나 전류
서지 발생기 (Surge Generator) 서지 전압을 발생하는 장치로 보통 변압기, 전류기, 콘덴서 등을 조합하여 콘덴서의 한 무리를 병렬로 충전하고 이것을 직렬회로로 전환하여 방전하도록 한 것.
서지 임피던스 (Surge Impedance) 안테나 등 평행 2선식 선로를 대칭 4단자 회로라고 생각한 선로의 임피던스
서지 전압 (Surge Voltage) 낙뢰 등에 의한 충격성이 높은 이상 전압
서지 흡수기 (Surge Absorber) 서지업소버(SA : Surge Absorber) 선간 전압 (Line Voltage) 전기 회로에서 인접하는 선로간의 전위차
선로 상수 (Line Constant) 전선로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누설 컨덕턴스 등을 가진 회로인데, 이 4가지를 선로 상수라 함.
선로 전류 (Line Current) 전기 회로에서 전원 단자로부터 선로로 유출하는 전류 및 선로로부터 부하 단자로 흘러 드는 전류
송전 손실 (Transmission-loss Coefficient) 송전 손실 (Transmission-loss Coefficient)
암페어 (Ampere) 전류의 단위. 1 암페어란 진공 중에서 1m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두어진 무한히 작은 원형 단면을 갖는 두 줄의 무한 길이의 직선상 도선에 전류를 흘렸을 경우 길이 1m마다 2 x 10-7N의 힘을 서로 미치는 크기의 전류임.
암페어의 오른 나사의 법칙 (Ampere's Right-handed Screw Rule) 암페어의 오른 나사의 법칙 (Ampere's Right-handed Screw Rule)전류에 의해서 생기는 자계의 방향을 찾아내기 위한 법칙.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주위에는 동심원상의 자계가 생기고 전류를 오른 나사의 진행방향으로 흘리면 자계는 나사가 도는 방향으로 생기게 되며, 원형코일에서 전류를 오른 나사가 도는 방향으로 흘리면 자계는 나사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발생함. |
전기용어5
어드미턴스 (Admittance) 교류회로에서 흐르는 전류와 거기에 가해지고 있든가 또는 발생하고 있는 전압과의 비. 임피던스의 역수로 단위는 S(지멘스)임.
여자기 (Exciter) 주발전기 또는 주전동기의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 발전기. 보통 분권 또는 복권 발전기에 사용됨.
여자 전류 (Exciting Current)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 교류기기에서는 철손 전류를 포함한 전류를 말함.
역상 계전기 (Negative-phase Relay) 다상 입력량의 역상분에 의해 동작하는 계전기로 3상계에서 주로 사용됨.
역상분 (Negative-phase-sequence Component) 역상분 (Negative-phase-sequence Component)
유도 전동기 (Synchronous Induction Motor) 유도 전동기 (Synchronous Induction Motor)
연속 정격 (Continuous Rating) 확립된 표준의 한도 내에서 주어진 시험 조건하에서 정해진 온도 상승 한도를 넘는 일 없이 연속하여 줄 수 있는 최대의 일정 부하를 말함.
온도 계전기 (Temperature Relay) 온도 검출기의 출력 신호에 의해 연료에너지 입력, 공기류 입력 또는 그 양자를 연소계에 보내는 시간율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하도록 한 장치
옴 (Ohm) 전기 저항의 실용단위로 기호는 Ω을 사용. 1옴이란, 1암페어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체의 2점간 전압이 1볼트일 때 그 2점간의 저항의 크기를 말함.
와전류 (Eddy Current) 자성체 중에서 자속이 변화하면 기전력이 발생하고 이 기전력에 의해 자성체 중에 소용돌이 모양의 전류가 흐르는데 이것을 와전류라 하며, 이전류에 의한 전력손실을 와전류손이라 함.
위상차 (Phase Difference) 같은 주파수의 두 정현파에서의 위상각의 차
유도 전동기 (Induction Motor) 회전하지 않는 고정자와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자로 이루어 지며 고정자 권선에 회전자계가 발생하는 전류를 공급하면 전자 유도에 의해 회전자 권선에 유도전류가 흘러 토크를 발생하여 회전하는 전동기
유도 전류 (Induced Current)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전자계를 줌으로써 도체 내부에 유도되는 전류
유전체 (Dielectric substance) 유전체는 절연물을 말하지만 절연물을 평행 전극판 사이에 넣으면 전극간의 정전용량이 커지는데, 이것은 절연물이 단지 전하를 이동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어떤 종류의 전기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의미에서 절연물을 유전체라 부름.
유효 전력 (Active Power) 전원에서 공급되고 부하에서 실제로 소비되는 전력
임피던스 (Impedance) 전기 회로에 교류를 흘렸을 경우에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
자기 저항 (Reluctance) 자기 회로에서의 자속이 통과하기 어려운 정도를 말함.
전동기 (Motor)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기
전류 (Current) 전기(전하)의 흐름(이동). 단위는 A(암페어) 1A는 1초간에 1C(쿨롱)의 전하가 이동하는 전류
전력 (Electric Power) 전기의 단위 시간당의 일의 양, 즉 전기적인 일의 율, 단위는 W(와트)
전력량 (Electric Energy) 어느 시간내에 일을 한 전기에너지의 총량
전력용 반도체 (IGBT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전력용 반도체 (IGBT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전압 (Voltage) 전류를 흘리는 전기적인 압력. 기호는 V. 1V는 1Ω의 저항을 통해서 1A의 전류를 흘리는 데 필요한 전압
전위 (Electric Potential) 전계의 방향을 거슬러 전하를 움직이려면 일이 필요하므로 전계가 작용하고 있는 장소는 전기적인 위치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데 이 크기를 전위라 함.
전자력 (Electromagnetic Force) 자계 중에 두어진 두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 전류 및 자계와 직각 방향으로 도체를 움직이는 힘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전자력이라 함.
전자장 (Electromagnetic Field) 전하는 공간에 전계를 만들고 이동하는 전하 즉, 전류는 그 주위를 둘러싸는 자계를 만드는데 반대로 변화하는 자계에는 전계가 수반하는 것도 알려져 있음. 이와 같이 전계와 자계의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공간 영역을 전자계 또는 전자장이라 함.
전해 콘덴서 (Electrolytic Condenser) 전기 분해를 응용하여 양극 금속의 표면에 산화 피막을 만들고 그것을 감싸듯이 음극을 붙인 것
정류 (Rectification)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것 |
전기용어6
정류기 변압기 (Rectification Transformer) 교류 계통의 기본 주파수로 동작하는 변압기로 정류기의 주전극에 도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출력권선(직류 권선)을 가지고 있는 것.
정전기 (Static Electricity) 부도체 상에 두어진 전하와 같이 거의 이동하지 않는 전하
정전 유도 (Static Induction) 대전체 가까이에 도체 또는 유전체를 두면 이 두 물체간의 정전 용량을 통해서 도체나 유전체 표면에 전하가 생기는데, 이와 같이 어느 물체의 전하가 다른 물체에 대해서 유도속을 일으키는 현상
정전 용량(Capacity) 절연된 도체간에 전위를 주었을 때 전하를 축적하는 것
정현파 (Sine Wave) 시간 혹은 공간의 선형함수의 정현 함수로서 나타내어지는 파를 말함.
제동권선 (Damper Winding) 난조 방지 권선이라고도 하며, 동기 발전기에서 난조를 방지하여 고른 회전을 위해 두어진 권선의 일종. 제동권선은 그 구조상 전기자의 3상권선에서 보면 일종의 농형 유도전동기의 2차권선으로서 작용하고, 회전자가 동기속도에서 벗어나 고속도로된 경우에는 그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작용하여 회전속도의 주기적인 변화를 방지함.
조도 (Illumination) 조명된 면에 빛이 닿는 정도. 단위 면적당의 광속. 단위 기호는 lx(룩스)
직류 전동기 (DC Motor) 전기자에 직류를 공급함으로써 회전하는 전동기
진공 개폐기 (Vacuum Load-breaker Switch) 고압 가공 배전선로에 사용하는 수동 조작의 개폐기
차단기 (Circuit Breaker) 보통의 회로 상태에서는 수동으로 회로를 개폐할 수 있고 단락고장 등의 이상 상태에서는 회로를 자동 차단하도록 설계된 장치
초전도 (Superconduction) 수은이나 주석, 기타 많은 금속이나 합금, 금속 화합물, 특수한 자기 물질 등에서 온도를 매우 낮게 하여 절대 온도 0도로 접근시키면 전기 저항이 0으로 되는 동시에 비투자율이 0, 즉 완전한 반자성체가 되는 현상을 말함.
초전도체 (Superconductivity) 초전도를 나타내는 물질로 현재까지 Hg, Pb, Nb 등 25종의 금속 원소와 수백 종의 합금, 화합물이 알려져 있음
컨덕턴스 (Conductance) 도전도로 저항의 역수. 저항이 얼마나 잘 흐르느냐를 나타냄.
커패시터 (Capacitor) 콘덴서 (Condenser)
커패시턴스 (Capacitance) 정전용량 (Capacity)
콘덴서 (Condenser)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부품으로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중요한 소자
클램프 (Clamp) 회로 어느 점의 전압을 다른 기준 전위점에 대하여 어느 값 이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 것.
클램프 회로 (Clamp Circuit) 펄스 파형등 교류 전압 파형의 한 쪽 직류 레벨을 같게 하는 회로
패러데이 법칙 (Faraday's Law) ① 전자유도에 관해서 1831년 패러데이(Faraday, 영국)에 의해서 발견된 법칙으로 하나의 회로에 전자유도에 의해서 생기는 기전력 e(V)는 이 회로의 지속 쇄교수 NΦ(Wb)의 시간 t(s)에 대한 변화비율에 비례함. 식은 e=-Δ(NΦ)/Δt로 나타 냄.
풍손 (Windage Loss) 회전기의 회전 부분과 공기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손실
플레밍의 왼손법칙 (Fleming's Left-hand Rule) 플레밍의 왼손법칙 (Fleming's Left-hand Rule)
피에조 효과 (Piezo Effect) 압전기 효과를 말하며, 결정에 압력을 가할 때 전기 분극에 의해서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티탄산 바륨 자기 등에서 현저하게 볼 수 있음. |
'기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자식 안정기 이해 (0) | 2011.01.26 |
---|---|
[스크랩] 자외선 이란? (0) | 2011.01.26 |
[스크랩] 형광램프의 이해 (0) | 2011.01.26 |
[스크랩] 정전기 피해와 대책 (0) | 2011.01.26 |
[스크랩] 전선약호 (0) | 201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