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절전(save)의 원리
◈ 형광램프는 램프 양단의 필라멘트에 전류가 흐르면서 가열되어 형광램프 內의 GAS가 이온화 되면서 빛을 발한다.
전자식 안정기는 25Hz 이상의 고주파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전류의 극성이 바뀔 때에도 형광램프 내에 전기적으로 충전된 캐리어가 충분히 남아 있기 때문에 다시 방전을 하기 위한 별도의 전압이 필요없으며, 광효율이 증가함에 따라 약 20% 정도 절전 효과가 있다.
◈ 전자식 안정기는 전자 부품으로 회로가 구성되어 있어 자체 소모전력이 적으며 약 5% 정도 절전 효과가 있다.
◈ 전자식 안정기는 열 손실로 인한 효율 감소, 역률 저하로 인한 전력 손실(무효전력) 등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도 절전효과가 있다.
각 전자식안정기 제조사별로 안정기를 설계함에 있어 다소 차이는 있으나 위의 요소들로 인하여 재래식 안정기(자기식, 쵸오크식) 보다는 약 25%의 절전 효과가 있다.
2. 기술규격에 대한 이해(KS C 8100)
◈ 2-1. T.H.D (TOTAL HARMONIC DISTORTION : 고조파 함유율)
고조파는 스위칭 모드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모든 전자 장비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서 입력 AC 파형 (60Hz 기본 정현라) 정배수에 해당하는 높은 주파수대에서 파형이 찌그러지는 현상을 HARMONIC 이라하며 통상 1차에서 17차까지의 합을 T.H.D. (TOTAL HARMONIC DISTORTION) 라고 합니다. 특히 고조파에서는 3rd가 총 T.H.D 의 30% 이상을 차지 함으로 3rd를 줄이는 것이 T.H.D를 낮추는 방법입니다.
◈ 관련성
선로상에 고조파가 많이 함유할 경우 정현파 (기본파 60Hz)의 찌그러짐으로 하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1. 변압기 손실 및 선로에 용량 감소 2. 중성선의 발열, 차단기 TRIP 3. 정밀급 전자장비, COMPUTER 등의 오동작 요인
◈ 관련 규격
미국 (ANSI) : 20% 미만 K S : 고고조파 함유형 30% 미만 저고조파 함유형 20% 미만 고마크 : 20% 미만
◈ 2-2. 접지
접지의 이유는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안전성과 성능면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등기구도 접지를 필히 하여야 합니다.
- 안정성 형광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는 내부에 충전 부품 (전해 CONDENSER)가 필히 들어가고 있으며, 규정상 전원을 차단하였을 때 안정기의 잔류전압이 1분이내에 45V이내로 방전 (KSC-8100 16항)을 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1차적으로 내부에 전해콘덴서와 병렬로 방전저항을 삽입하고 있으나 무조건 빠른 방전을 위하여 방전저항 값을 낮추면 안정기의 자체 전력 소모 및 저항의 자체 발열 등으로 효율이 저하되어 수백㏀의 방전용 저항을 설계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2차적으로 접지를 시켜 잔류전압을 신속하게 방전시켜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방전이 늦을 경우에는 잔류 전압으로 인하여 입력측 쇼트 또는 금속체 접촉시 스파크가 일어날 수 있으며 형광등의 잔광(번쩍거림 또는 어른거림)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성 능 E.M.I. 는 전계강도와 단자전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접지가 없을 경우 특히 단자전압에서 문제가 많이 발생하여 다른 기기에 오작동 등의 발생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접지회로
![](http://www.hibama.com/introdction/img/intro01-1.jpg)
◈ 2-3. 온도보호 및 각종 보호기능
1) 온도 보호 기능 회로 설계시 온도 감지 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THERMAL PROTECTOR 방식 안정기 내부 부품 중 발열을 제일 많이 하는 부위에 PROTECT을 부착하여 과열시 차단되게 하는 방식으로 온도 상승시 PROTECTOP 동작하여 형광램프가 소등되고 온도가 원상태로 내려가면 자동 복귀되어 형광램프가 재 점등되는 방식
▶ 전자회로 감지방식 전자회로를 설계하여 과열시 이상 전압 및 이상 전류를 감지하여 차단 시켜주는 방식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THERMAL PROTECTOR 방식과 같이 형광램프가 소등되나 온도가 원상태로 된 후 전원을 OFF 후 다시 ON 하면 정상으로 복귀되어 형광램프가 재 점등되는방식
관련규정 -. KS-8100 용어의 정의 7항 -. 최고표면온도 100℃ 이하인 것 표시할 것 -. 최고표면온도 초과 이하인 것은 단위로 표시
2)FUSE 의 역할 안정기의 FUSE는 교체가 불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전자식 안정기가 반도체부품을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FUSE가 끊어졌을 때는 회로상의 반도체 부품(DIODE, F.E.T. TR 등)이 이미 과열 또는 과다한 전류 등으로 인한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파괴 또는 손상이 됐기 때문에 FUSE교체한다고 해서 회로가 정상 동작되어지질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USE를 사용하는 이유는 위와 같은 현상으로 화재 또는 같은 선로상의 다른기기 보호의 목적으로 전원 HOT(LIVE) LINE에 FUSE를 넣어 전원을 차단시키는 안전장치 이다.
◈ 2-4. LAMP 수명말기 보호장치
LAMP의 수명은 형광램프의 흑화 및 필라멘트 단선으로 인하여 점등되지 않을 때 또는 형광램프의 전광속이 70%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를 형광램프 수명이라 한다. 일반 소비자는 전광속이 70% 이하에 대한 감이 없으며 단순히 점등이 되지 않을 때까지 일반적으로 계속 사용하고 있다. 형광램프가 방전불능 상태에 도달하여 램프 양쪽 끝 필라멘트 부분이 빨갛게 들어오며 램프전체가 흐리게 점등되는 현상을 LAMP수명 말기상태라 한다. LAMP 말기 시에는 LAMP 양단의 필라멘트에 이상전압과 전류가 상승하여 필라멘트 즉 소켓 부분에 굉장히 높은 열(120°C~150°C)이 발생하여 방치할 경우 화재나 LAMP낙하 등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보호장치를 전자식 안정기에서는 필수적으로 설계하고 있다.
램프수명 말기 보호 회로에 쓰이는 회로는 여러 방법이 있겠으나 통상 아래와 같다.
● 보호회로 방식
|
보호회로 방식 |
보호회로 |
보호회로 동작시의 소비전력 |
1) SHUT DOWN 방식 (발진멈춤) |
예민하여 LAMP 취부시 오동작 염려가 있으나 안정성이 높아 고가 제품에 채택하고 있음. |
약 0.5 ~ 1W |
2) 발진전압 DOWN 방식 |
말기시 발진 전압을 내려 줌으로서 더 이상의 과열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소비전력에 손실이 있다. |
약 10 ~ 20W |
3) 혼합 방식 |
위의 1),2)항의 장점만을 발췌하여 혼합한 것으로 LAMP를 등기구에 취부시에는 SHUT DOWN이 안되나 램프의 수명말기 상태가 지속될 경우(약 5분이상) SHUT DOWN이 되는 방식으로 원가상승으로 인하여 고가의 제품에만 적용됨. |
약 0.5 ~ 1W | |
◈ 2-5. EMI 와 CASE 재질
EMI는 전계강도와 단자전압으로 나누고 있으며 CASE와의 관계는 전계강도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계강도는 전계와 자계가 발생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 전계(電界) 전계는 도체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전계선(ELECTRIC FIELD LINE)들이 다른 전하와 부딪히면 멈추기 때문이다. 만약, 전계선이 통과하는 곳에 나무들 같은 물체가 있거나 벽이나 지붕이 있다면 대부분의 전계선은 그 물체의 전하와 충돌하여 더 이상 나아가지 못 할 것이다. 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접지 된 알루미늄 같은 차폐된 CASE를 사용한다면 더 많은 전계를 차폐할 수 있다.
● 자계(磁界) 자계는 대부분의 물질에 의해 차폐되지 않기 때문에 차폐하기란 쉽지 않다. 이것은 자계선(MAGNETIC FIELD LINE)이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주위에 연속적인 루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전계강도는 차폐 CASE에 따라 약 90% 이상 차폐가 가능하나 자계는 차폐하기란 어려우나 다행히 전자식 안정기는 전류가 많이 흐르질 않기 때문에 자계에 의한 영향은 아주 미비하다.
문제는 전계강도인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설계시 발진전압을 최소화함으로서 불요복사 NOISE를 근원적으로 줄여 준다면 이 또한 큰 문제가 되질 않는다. - KSC-8100 EMI 전계강도 규격 40 ~ 54dB ◈ 2-6. 2등용과 1등용 안정기의 차이
원칙적으로 1개의 LAMP에 1개의 안정기를 사용하는 개념이 우선적이다. 그러나 2개의 LAMP를 사용하는 등기구의 경우에는 대부분 원가 절감을 위하여 2등용 안정기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자기식안정기에서는 이에 따르는 문제점이 있어 1등용 안정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전자식안정기 1개에 램프 2개를 사용할 수 있어 전자식안정기 만이 가지는 고유 장점이라 하겠다.
1) BLOCK DIAGRAM
![](http://www.hibama.com/introdction/img/intro01-6.jpg)
2) 2등용 사용시 예상문제점에 대한 대책
▶ 입력(전원)측의 이상 현상 발생시 입력(전원)측에 정격전압 이상의 과전압 유입이나 기타 문제점 발생시 1등용이나 2등용 전부 점등되지 않음. ▶ 출력(LAMP)측의 이상 현상 발생시 LC공진 회로를 별도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램프 각기 별도로 동작함으로 1등용과 같은 효과임 ▶ 2등용 안정기로 인한 용량 부족 2등용 안정기에 대한 용량을 충분히 계산되어 설계되었으므로 F.E.T. 또는 기타 부품의 용량부족으로 과열이나 또는 이상현상이 발생치 않음 ▶ 램프 1등만 사용시 문제점 절전하기 위해 램프 1등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LAMP를 소켓에서 양쪽 모두 제거하여 LAMP를 완전히 빼어 놓으면 1등용 안정기와 똑같은 기능을 합니다. 다만 통상적으로 램프 핀을 한쪽 소켓은 빼고 한쪽은 소켓에 걸쳐놓았을 경우는 소켓에 접촉이 되어진 램프부분의 필라멘트에 예열전류가 계속 흘러 LAMP의 흑화 현상이 발생 하며 조기에 필라멘트가 단락되어 램프를 사용할 수 없으며, 입력전력도 그 만큼 더 소비하게 됩니다. (단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