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사 상 식

[스크랩] { 제레 순서 }

양사랑 2012. 4. 27. 15:25


 

1 .분향 {奮香}

제주가 제상 앞에서 정중하게 무릎을 끓고 공손하게 두손으로 향불에

분향을 한뒤 절을 2번 한다

 

2 강신 {降神}

강신이란 신위{神位}께서 강림 하시어 음식을 드시길을 청한다는 뜻이다

 

3 참신 {參神}

참신이란 강신을 마친후 제주 이하모든 참신자가 함께 2번 절하는 것을 말한다

 

4 초헌 {初獻}

초헌이란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한 후 술잔을 제상에 올린다

 

5 독축 {讀祝}

초헌이 끝나면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가 무릎을 꿇고 부복하며 축관은 앉아서 엄숙한 목소리로 축문을 읽는다

읽기가 끝나면 잠시후 일어나며 제주는 절을 2 번한다

 

6 아헌 {亞獻}

아헌이란 2 번째 올리는 잔을 말한다 2 번째잔은 주부가 올리는 것이 예의 이지만 주부가 올리기 어려울 때에는

제주의 다음 가는 근친자나 장손이 올린다

 

7 종헌 {綜獻}

종헌이란 3 번째 올리는 잔을 말하는데 종헌은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의 예절과 같이 한다

 

8 첨작 {添酌}

첨작이라 함은 종헌자가 채우지않은 술잔에 제주가 무릎꿇고 다른 잔에 술을 조금 따라서 좌 우측 사람을

통하여 술을 채우도록 한다

 

9 계반 {階般}

계반삽시 {階般揷試} 메 {밥}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것을 말하는데 수저는 동쪽을 향하게 꽂는다

 

10 합문 {闔門}

합문이란 참사자 일동이 문을 닫는 것을 말하는데 대청이나 마루에서 조용히 기다린다

 

11 계문 {階門}

계문이란 문을 여는것을 말한다 제주가 앞에 서서 기침을 하고 일동을 대리고 들어간다

 

12 헌다 {獻茶}

슝늉을 갱가 바꾸어 올리고 메 {밥} 을 조금씩 3 번 떠서 말아놓고 정저한다 이때에 꽃아놓은

숟저를 숭늉 그릇에 반듯이 담그어 놓는다

 

13 철시 {撤試}

철시란 수늉 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을 덮는 것을 말한다

 

14 사신{思神}

참사자 일동이 2 번 절하고 신주일 경우에는 사당에 모시고 지방과 축문을 불 태운다

 

15 철상 {撤床}

철상이란 상을 걷는 것을 말한데 모든 제수는 뒤에서 부터 물린다

 

16 음복 {飮福}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신 복된 음식이란 는 뜻으로 제사가 끝나면 참사자와 가족이 모여 시식을 한다

 

 

 

 

 

 

 

출처 : 송암사람들
글쓴이 : 바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