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차례와 제사 지내는 법 ○차례 제사 지내는법 ※차례(茶禮) : 기제사(忌祭祀)보다 간략하다. 무축단잔(배)(無祝單盞(拜)):축문을 읽지 않는다. (예법서에 따라서는 명절 제사의 축문 서식이 수록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대에는 사문화되어 사용하지 않는다) 헌작(잔 올리기)은 1회만 한다. [기제사처럼 헌작을 다하는 가문(지방).. 제 사 상 식 2008.03.21
[스크랩] 가계도(호칭 및 촌수) 촌수 계산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부부는 무촌 즉, 촌수가 없고. 부모와 자식이 1 촌, 형제간은 2촌이됩니다. 예를들어 아버지의 형제인 작은아버지의 아들의 경우 '나'와의 촌수는 아버지와 나 = 1 아버지와 작은아버지는 형제니까 = 2 (작은아버지와 나는 3촌) 작은아버지와 아들 = 1 그 합은 4 그래서 사촌.. 제 사 상 식 2008.03.21
[스크랩] 추석차례상 및 지방/축문 쓰기 추석 차례상차리기 지방 및 축문쓰기 (상차리는 방법과 순서. 지방 및 축문쓰기) 차례상 제대로 차리기 5줄 차례상 견본(지역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 차례상 차리는 방법 진설하는 열은 모두 5열로 위 그림과 방법으로 합니다. 제1열은 술잔과 메(밥), 떡국(설), 송편(추석)을 놓는 줄 앞에서 보아.. 제 사 상 식 2008.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