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이야기① - 체크포인트
1. 투기 아닌 투자를 생각하라. 무리한 투자는
금물. 분수에 맞는 투자가 정석이다. 덩치가 큰 땅을 찾기보다 자신의 자금 동원 능력을 감안, 투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귀가 얇은
초보자는 남의 말을 믿다가 투자금을 날리는 사례가 많다. 대규모 개발이
예정된 주변 땅 구입은 성공 투자를 보장한다. 그동안 땅값 상승이 컸던 지역을 보면 택지지구 주변, 공단 조성지역이 빠지지 않는다. 택지조성은
정부가 추진하는 가장 정확한 개발 정보다.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정석투자만이 성공할 수 있다. 갑자기 튀어나온 개발 정보나 뜬 소문에 조심해야 한다. 부정확한 소문만 믿고 달려들었다가 실패하기
십상이다. 서해안고속도로나
중앙고속도로 개통지역 주변을 보면 알 수 있다. 도로개통은 주민의 생활 반경을 확대한다. 도심 접근성이 좋아져 유동 인구가 많아지면서 투자가
활성화되기 마련이다. 자연히 땅값이 오를 수 밖에 없다. 지금은 서울과 직결되는 수도권의 마지막 철도 가 될
서해선의 역세권을 노려볼 만한 가치가 있다 도시계획은 해당
도시의 개발 방향을 알 수 있는 척도다. 입안 단계부터 최종 결정 때가지놓치지 말고 추적하면 땅값 상승지역을 예측할 수
있다. 토지는 아파트와
달리 권리관계가 복잡하다. 공부상(등기부등본)권리관계만 믿어서는 안된다. 실제 이용 상황이 달라 이용제한을 받는 경우도
허다하다. 대규모 개발 예정지역 등 땅값이 급등하는 곳은 정부가 나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 판교지역이 좋은 예다. 판교개발이 기정사실화되면서 일찍 투자한 사람들은 이익을 남기고 빠져 나왔다. 그러나 막차를 탄 사람은 거래 제한 등으로 어려움 겪고 있다.
|
땅이야기② - 땅투자10계명
주거용 부동산
시장이 정부의 강한 규제로 침체인 반면 행정수도 이전지 확정, 철도 등 도로망 대폭 확충, 그린벨트 해제 등 각종 개발재료로 토지시장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사실상 토지시장도 수도권이냐 아니냐에 따라 투자가치가 양분화되고 있지만, 이런 분위기에 휩쓸려 20년 동안 팔리지 않던 투자가치
없는 땅들도 시중에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 |
땅이야기③ - 개미들 땅투자법
종잣돈이 부족해
‘연합투자전략’으로 토지를 공동매입한 후 분할 또는 개발로 수익을 남기는 ‘토지계(契)’가 유행이다. |
땅이야기④ - 땅매입 절차
수도권 이외의 땅을
사려는 이들이 자주 토로하는 어려움 중 하나는 시골땅에 대해 접근할 정보를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에, 어떤 조건의 땅이,
얼마의 가격에 매물로 나왔는지 일목요연하게 확인해볼 수 있는 방법이 생각보다 적다. 그렇다면 이런 토지를 매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Daum 디벨로퍼아카데미 www.1234.so
'부 동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가가치 있는 좋은 임야 고르는 법..!! (0) | 2015.07.01 |
---|---|
[스크랩] 좋은 땅 보는 방법 10가지 핵심사항 (0) | 2015.06.22 |
[스크랩] 토지 공부서류 이것만은 반드시 알자 (0) | 2015.03.26 |
[스크랩] 돈 버는 습관을 길러보자. (0) | 2015.03.17 |
[스크랩] 토지 용 어 설 명 (0) | 201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