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임야는 강을 바라보고 있지 않더라도 주변에 계곡이나
개울을 끼고 있으면 그 가치가 더
높아진다.
그러나 산
좋고 물 좋은 곳이 그리 많지 않다.
또 무조건 강이나 호수가 가깝다고 좋은 것만도
아니다.
강이나 호수, 계곡 가까이에 건물이 있으면
장마나 홍수 때 물이 넘칠 위험이 있다.
더욱이 강이나 호수에서 너무 가까우면 습기가
많고
안개가 자주 끼어 주거리로서 적합하지
않다.
그저 앞이 탁 트이고 강이나 호수를 멀리서 바라보기에 좋을 정도의
조망권을 가진 위치면 적합하다.
산이나 절벽 바로 아래 집을 지을 경우에는
산사태의 위험은 없는지,
또 계곡을 끼고 집을
지을경우에는
여름 장마철에 계곡물이 많이 불어서 넘칠 위험은 없는지
등
만일의 위험도 점검해야
한다.
요즘은 자연환경이나 풍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평지보다는 오히려 지대가
높고,
경사진 땅을
선호하기도 한다.
최근에 개발하는 전원주택지를 보면
임야의 지형과 지세를 그대로 살리고,
주변 숲을 최대한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단지를 조성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경사가 너무 급격한 땅은
개발허가를 받기도 어려울 뿐더러
토목공사비도 많이 들기 때문에
사전에 꼼꼼하게 투자비를 계산해 봐야
한다.
반대로 주변 지역보다 지대가 낮거나 패인
분지는
토목공사비용은
많지만,
지대가 높은 곳에 새 둥지를 아늑하게 형성된
분지는
오히려 장점이
된다.
산꼭대기까지 도로를 내는 데 드는 비용을
감안해서
사업성만
보장된다면 오히려
산꼭대기 분지가
천혜의 전원주택지나 휴양지가 될수
있다.
자갈과 암반이 적은 토질로 배수가 잘 되는 남동향 땅을 선택한다.
임야를 개발하는 경우에 토질도 상당히 중요한 기준이 된다.
돌이나 자갈이 많이섞인 땅이나 암반이나올 우려가있는 곳도
공사비가 많이 들어가는 데다 개발이
쉽지 않다.
대체로 자갈이 많고 토질이 먼저처럼 푸석푸석한 땅들이 그런 경우가
많다.
반면 자갈은 없으나 너무 검붉은 땅은 차질고 단단해 공사하는 데 애를
먹는다.
또 당 밑으로 물이 흐르는 경우도 있다.
산인데도 비가 조금만 오면 땅에 흥건히 물이 고이고,
장마철에는 도랑이 패이기도 한다.
이런 땅은 배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동절기가 긴 강원도나 경기도 북쪽에 위치한 임야는
기후조건도 매우 중요하다.
강설량이 많고 평균일조량이 부족하며 겨울이 긴 곳은
아무래도 임야를 개발해서
늘 햇볕을 잘 받을수 있는 남동향이라면 겨울이 길고 추운
입지적 단점을 조금이라도 극복할수 있다.
도로 진입이 수월하고 생활편의시설과의 거리가
가까운 곳을 고른다.
대지든 농지든 임야든,
개발 가능한 토지는 교통망과 진입도로 조건이 투자가치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아주 중요하다.
전원주택으로 개발하든 휴양 및 관광단지로 개발하든
도로망이 잘 정비되어 있고 도로 접근성이
좋다면
무엇으로
개발하든 부가가치가 크다.
주로 고속도로 톨게이트나 국도로 진입하기
수월하고,
인근지역과 연결되는
도로망이 잘 발달된
곳이
교통 체증시
차량 분산의 역할을 톡톡히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고속도로 IC나 국도와 바로 인접하지 않더라도
대상 부지까지 진입하는 데 도로 여건상
어려움이 없고
고속도로나
국도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지 않다면 문제가 없다.
전원주택지나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위락시설은 진입도로뿐만 아니라
대중
교통망과의 연계성도 중요하다.
자가용 이용이 어려울 때 철도나 고속버스를 이용할수 있으면 더없이
좋고,
가까운
관광지나 시내를 왕래할 수 있는
대중버스 노선
등이 잘 갖추어져 있다면
그만큼 부지의 매력은 커진다.
임야는 쾌적한 자연환경이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므로
환경에 저해가 되는 공장,
위험물질을 제조하는
공장,
소음과 악취를
발산하는 공장,
대규모
공원묘지가 근접한 땅 등은 요주의 대상이다.
특히 주변에 축산농가가 있거나 화학약품의 공장 등이
있다면
계절에 따라
바람을 타고
냄새가 실려
올 우려는 없는 지도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저지대에 위치한 전원주택은 위쪽에 축사나
농장등이 있을 경우
냄새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이 땅속에 스며들기 때문에
우물을 파더라도 깊이 파지 않으면 오염된 물을 마실수 있다.
장기체류형 시설이나 전원주택
단지는
읍내에서 생필품을 조달하기 쉽고,
자동차로
20분이내 거리에
대형 쇼핑시설
등을 이용할수 있다면 금상첨화다.
의료시설은 가까울수록 좋다.
갑작스런 돌발사태가 생기거나 위험한 일이 생겼을때
의료시설을 바로 이용할수 있는 위치여야
한다.
부지는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도로와 접한 면이 넓은 땅이 활용도
높다.
토지 활용도가 가장
높고,
집짓기 좋은 땅의 모양은
정사각형이다.
그러나 근린생활시설 등을 고려할때는 꼭 정사각형이 아니라
대지에 접한 면이 넓은 직사각형 부지도
좋다.
가장 중요한 것은 토지의 폭이다.
직사각형 부지의 경우 건물폭이 보토 8~10M정도는 확보되어야 하므로
부지가 길쭉하다면 건축에 적당한 폭이 나오는 지
확인해야 한다.
부정형이라도 단점이 아니다.
보통 부정형의 토지는 활용도가 낮기 때문에
땅값이 싸지만,
임야는 개발 업종에
따라 주변 지형과 지세를 잘 활용할수
있다.
특히 큰 나무나
울창한 숲을 자연조경으로 활용해
단지 조성비용을 줄일수도
있다.
도로 폭도 필수 점검사항이다.
건축법상 부지가 최소한 5M이상의 도로와 접해야 하고,
도로에 접한 대지의 길이는 2M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연면적이 600평이상인
경우에는
6M이상의 도로에 접해야
하고,
도로에 접한 대지의 길이는
6M이상이거나
4M이상 2곳에 접해 건축허가를 받을수 있다.
임야는 대체로 마을에 접해 있어도 진입도로나
도로 조건이
건축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곳이 많기
때문에
도로 여건을 꼭 살펴야 한다.
만약 도로 여건이 여의치 않으면 진입도로
개설이나 도로 확장 등에 필요한
토지의 손실과
공사비용 등을 감안해서 매입금액의 경제성을 따져봐야 한다.
숲이 울창하고 보존가치가 높은 임야는 피하는 것이 좋다.
용도상 이용 개발이 어렵거나 규제가 있는 지를 사전에
검토한다.
이를 위해 토지이용계획확인원이나 임야도 등의 공부를
떼서
용도지역과
지목, 면적, 토지 모양등을
확인한다.
현장답사도
필수다.
임야나 지방 토지는 공부상 기재된 용도와 이용현황이 다른 경우가
있다.
반드시 현장실사를 통해 토지
면적,
경계선, 이용실태 등을 조사해야
한다.
산림전용이 가능한 지역일지라도 임상이 좋거나
입목본수도가 50%이상으로 숲이
울창하거나
경사가 심한 경우에는 산림전용 허가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팔당상수원수질보전 특별대책
제1권역과
제2권역에 포함되는 양평, 광주용인,
남양주,
여주, 가평, 이천지역
등은
사전에 관할 행정기관을
방문해서
취득제한이나 개발 규제 내용을
알아보고,
허가 여부를 확실히 해둘 필요가
있다.
인근주민들과 행정기관이 지역개발에 호의적인 곳이 유리하다.
개발은 땅만 사는 게 아니라,
그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살거나 지역을
기반으로
사업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과의 융화는
사업성공의 중요한 조건이다.
특히 전원주택지의
경우에는
지역주민들과의 교류가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다.
보수적이고 폐쇠적인 씨족 중심의 마을이나
외지인에게
배타적인 성향을
가진 주민들이 사는곳은
개발에 항상 민원이
따른다.
사전에 충분히 주민들과의 접촉을 통해
친분을 쌓아두고
협조를 받을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행정기관의 태도도
중요하다.
똑깥은 사업이라도 지역개발에
대한
행정기관의 자세에
따라 사업추진이 쉽기도
하고,
어려워지기도
한다.
사전에
담당부서나 공무원 등을 접촉하여 협조를 받을수 있도록
사업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교통여건이
좋아지고, 관광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선택한다.
개발은 홀로서기가
안된다.
대상 부지의 입지여건은 물론, 주변지역이
계속 개발되고 있거나
장래에 대규모
관광단지나 택지개발 등이 예정되어 있다면 금상첨화이다.
이런 지역은 가만히 앉아 있어도 도로가 신설, 확장되고
교통여건이 좋아지는 것은 물론,
유동인구와
배우수요층이 늘어나게 되므로
어떤 사업을
하던지 투자가치가 있다.
또 요즘은 지방자치
단체별로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관광상품으로 적극 개발하고
있고,
마을을 하나의
문화적 개념으로
테마파크로서
부각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인근에 연계되는 관광,
휴양시설이나
외지인을 끌어 들일수 있는 그 지방
고유의 관광상품이나
이벤트가 있는
곳이라면 개발의 효과도 더욱 커진다.